청송군의회는 지난 10일 정부의 미국산 사과 수입 검토 움직임에 대해 강력히 반발하며, 즉각 중단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는 산업통상자원부가 농림축산식품부에 미국산 사과 수입을 통상 협상 카드로 검토하라고 지시했다는 최근 보도(매일신문 9일 보도)에 따른 신속 대응이다.
청송군의회는 성명서를 통해 "미국산 사과 수입이 현실화될 경우 도내 사과 생산 농가는 물론, 국내 과수 산업 전체가 회복 불가능한 타격을 입게 된다"며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특히, "이는 초대형 산불 피해, 고령화, 이상기후, 생산비 상승 등으로 벼랑 끝에 내몰린 과수 농가를 절벽 아래로 떠미는 것과 다름없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청송군이 속한 경상북도는 전국 사과 생산량의 62%를 차지하는 대한민국 최대 사과 주산지로, 청송·영주·안동을 중심으로 약 1만 8천여 농가가 1만 9천㏊의 면적에서 재배 중이다.
생산액 기준으로도 전국 1조 3천769억 원 중 8천247억 원(60%)을 경북이 차지하고 있어, 지역 경제와 농민 생존권에 미치는 파장은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성명서에서 청송군의회는 정부에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요구사항을 공식 전달했다.
▷미국산 사과 수입 검토를 즉각 중단하라 ▷농산물은 통상 협상의 대상이 될 수 없음을 선언하라 ▷농업과 농민을 협상의 희생양으로 삼지 않겠다는 책임 있는 입장을 국민 앞에 밝혀라 등이다.
청송군의회는 "사과는 단순한 과일이 아닌, 농민의 생계이자 청송군민의 자부심"이라며 "군민 2만4천여 명과 전국 농민을 대표해 정부의 수입 추진 움직임에 단호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청송군의회는 이날 발표한 성명서를 농림축산식품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 부처에 전달하고, 향후 대응 전략 마련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李 '이진숙, 문제있는 것 같아 딱하다' 언급"…정규재 전언
방위병 출신 안규백 국방장관 후보자, 약 8개월 더 복무한 이유는?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야고부-석민] 외교 대참사 예고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