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국회 예산 심사에서 예외 없이 구태가 되풀이되고 있다. 바로 상임위원회별 심사에서 '끼워넣는' 예산의 폭증이다. 현재 15개 상임위 중 예산 심사를 마무리한 12개 상임위가 증액한 예산은 4조 7천600억 원이다. 여기에다 아직 예산을 의결하지 않은 3개 상임위까지 포함하면 총 증액 규모는 9조 원에 이른다고 한다. 이 중 상당수가 지역구를 의식한 선심성 예산이란 지적이다.
그러나 이 같은 예산 증액을 모두 나쁘게 볼 필요는 없다. 이 중에는 필요성과 타당성이 인정되는 예산도 있다. 민주당 대구시당위원장 홍의락 의원이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계수조정소위에서 확보한 포항-영덕 고속도로 예산 98억 원이 바로 그런 것이다. 이 사업은 낙후된 동해안 지역의 교통 인프라 개선을 위해 꼭 필요하다. 그러나 민주당은 이 사업을 88올림픽고속도로(2천억 원),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2천92억 원)와 함께 '특정 지역 편중' 예산으로 분류해 삭감하겠다고 했었다.
결국 문제는 필요한 사업임에도 특정 정당의 편견 때문에 삭감되는 예산의 '복구'가 '선심성' 예산과 한 묶음으로 매도되는 사태다. 이런 불합리를 없애기 위해서는 국회의원들이 소속 정당을 떠나 항목별 예산을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그 필요성과 타당성을 점검해야 한다. 그래야 선심성'낭비성 예산은 줄이거나 없애고 국민 전체와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예산은 살릴 수 있다.
국회 예산 심사에서 앞으로 남은 절차는 예산안조정소위이다. 상임위별 예산 심사 결과를 심사해 최종적으로 예산안 증감을 조율하는 이 과정에서 이른바 '쪽지' 예산이 폭주할 것이다. 국회의원들은 이 과정에서도 선심성 예산과 꼭 필요한 예산을 가려내는 혜안을 발휘해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李 '이진숙, 문제있는 것 같아 딱하다' 언급"…정규재 전언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방위병 출신 안규백 국방장관 후보자, 약 8개월 더 복무한 이유는?
전국 법학교수들 "조국 일가는 희생양"…李대통령에 광복절 특별사면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