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 며느리와 시어머니의 갈등이 부각되는 반면 며느리와 시아버지의 관계는 상당히 원만하게 그려진다. 하지만 여기에 반대되는 설정이 흥선대원군(1820~1898)과 명성황후다.
어렵게 아들(고종)을 왕으로 만들고(1863년) 막강한 권한을 휘둘렀던 흥선대원군. 그가 고심 끝에 선택한 며느리와는 원수지간이었다. 두 사람이 본격적인 갈등 관계에 들어선 것은 고종의 후궁이 아들을 낳자 흥선대원군이 무척 좋아해 아이가 없던 명성황후의 마음이 뒤틀린 데서 비롯됐다고 한다. 얼마 후 명성황후가 낳은 아들이 수일 만에 죽자 황후는 대원군이 보낸 산삼을 너무 많이 먹여 그렇게 됐다는 오해를 했다는 설도 있다. 결국 대원군은 고종이 권좌에 오른 지 10년 만에 며느리에 의해 권력 핵심에서 축출된다.
이후 그는 끊임없이 며느리에 대한 암살을 기도했고, 며느리를 제거해달라는 요청을 일본 측에 전달하기도 했다. 이 때문은 아니지만 결국 명성황후는 궁궐 담을 넘어온 일본 낭인들에 의해 비참한 죽음을 당했다. 1820년 오늘 태어난 흥선대원군의 본명은 이하응이다.
댓글 많은 뉴스
안철수 "한덕수는 출마 포기, 김문수·한동훈은 결단해야"
文, 뇌물죄 기소에 "터무니없고 황당…尹 탄핵에 대한 보복"
[단독] 국민의힘, '한동훈 명의 당원게시판 사태' 덮었다
이재명 대권가도 꽃길? 가시밭길?…대법원 재판 속도전 의견 분분
文뇌물죄 기소에 "부동산 정책 실패하고 사위엔 특혜?" 국힘 일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