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항 드디어 '폐기물 안묻고 에너지화'

사업계획 동의안 시의회 통과

경북도내 최대 도시인 포항의 폐기물 처리 체제가 완전히 바뀐다. 매립에서 재활용을 통한 에너지원 개발로 바뀌는 것이다. 포항시 제공.
경북도내 최대 도시인 포항의 폐기물 처리 체제가 완전히 바뀐다. 매립에서 재활용을 통한 에너지원 개발로 바뀌는 것이다. 포항시 제공.

7년을 끌어온 생활폐기물 에너지화시설(RDF) 사업(본지 3월 18일 자 1, 3면 보도)에 대한 우선협상대상자와 실시협약 체결 및 사업시행자 지정 동의안이 최근 포항시의회를 통과, 포항 최대 현안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게 됐다.

이에 따라 포항시는 생활쓰레기를 매립하지 않고 에너지자원으로 재활용, 전기를 생산하는 폐자원 에너지화(RDF)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됐다.

포항시 생활폐기물 에너지화사업은 1천292억원을 들여 남구 호동 옛 포항도시가스 부지에 2018년까지 발전시설을 갖추는 것. 이 시설은 하루 500t의 생활쓰레기를 파쇄와 선별 등의 전처리를 거쳐 270t의 비 성형 고형연료를 만들게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연료는 발전전용 보일러 가동을 통해 전력 생산에 이용되고, 생산된 전력은 전량 전력거래소에 판매, 수익을 창출한다. 글자 그대로 친환경 폐자원에너지화 사업이다.

포항시는 그동안 종량제봉투에 담긴 채 매립되던 각종 생활쓰레기를 재활용함으로써 새로운 에너지원 개발 효과와 함께 악취와 온실가스, 침출수 등 환경유해물질의 발생을 크게 줄이는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됐다.

또 전기 생산에 따라 연간 90억원 상당 화석연료 등 수입대체 효과와 원자력발전에 대한 의존비율을 줄이는 것은 물론, 향후 신재생에너지 의무 공급인증서(REC) 판매 수익을 확보하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포화상태에 도달한 호동 매립장의 사용기간 연장도 가능해졌다.

포항시의 생활폐기물 에너지화사업은 지난 2008년 5월, 포스코와 사업추진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다음 해인 2009년 7월 가칭 포항이앤이㈜가 수익형민간투자사업(BTO)의 최초 제안서를 포항시에 제출하면서 첫발을 내디뎠다. 이후 정부 측과 사업자 측 간의 실시협상을 거쳐 지난해 7월에 기획재정부 소관 '중앙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에서 실시협상 결과 및 사업시행자 지정안이 최종심의 의결됐다.

이에 따라 포항시는 지난 4월 포항시의회에 실시협약 및 사업시행자 지정을 위해 시의회에 동의를 요청했고, 시의회는 복지환경위원회를 중심으로 그동안 쟁점사항으로 부각돼 왔던 경제성과 환경성, 공익성 등 각종 현안에 대하여 면밀한 검토를 거쳐 마침내 본회의를 통과시켰다.

포항 이상원 기자 seagull@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