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메르스 3차 감염까지…건강한 사람은 '감기'처럼 지나간다? 걱정대신 예방법 눈길

사진. MBC 뉴스 방송 캡쳐
사진. MBC 뉴스 방송 캡쳐

메르스 3차 감염까지…건강한 사람은 '감기'처럼 지나간다? 예방법 눈길

메르스 3차 감염과 메르스로 인한 사망자 소식이 추가 보도되면서 메르스 예방법이 화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메르스 역시 건강한 사람은 '감기'처럼 지나갈 수 있다고 하는 전문가의 의견이 발표되어 눈길을 끌고 있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이 3차 감염자 2명, 사망자 2명이 발생하며 사태가 확산되고 있다. 제2의 사스나 신종플루 사태가 되는 것 아닐까 우려가 커지면서 메르스 증상과 예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1일 사망한 메르스 의심 환자 S(58·여)는 메르스 양성 판정을 받았다. 또 6번째 메르스 확진자 F(71)도 사망했다.

3차 감염자도 최초로 발생했다. 16번째 메르스 확진자 P(40)씨와 접촉한 Y(73)씨와 Z(78)씨가 최초 3차 감염자로 알려졌다. 이들은 P씨가 확진 판정을 받기 전에 같은 병실에서 지난달 28~30일 치료를 받던 환자들이다.

전문가들은 메르스 바이러스가 변이만 없다면 건강한 사람은 감기처럼 지나간다고 분석했다. 단 중장년층 이상의 만성질환자는 메르스 고위험군으로 봤다. 면역력이 약한 이 사람들은 메르스 확진환자와 접촉하면 감염 위험이 크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메르스의 증상은 2~14일의 잠복기를 거쳐 38℃ 이상의 발열과 기침이 나는 등 최초 증상은 감기와 유사하다. 이후 호흡곤란, 폐렴, 급성 신부전증 등으로 발전되기도 한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먼저 비누와 물 또는 손 세정제로 손을 자주 씻어야 한다. 중동지역 여행 혹은 체류 중에는 낙타, 박쥐, 염소 등 동물과의 접촉을 삼가야 한다. 특히 낙타와의 접촉을 피해야 하며 익히지 않은 낙타고기나 멸균되지 않은 생낙타유를 먹어서는 안 된다.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경우에는 화장지나 손수건으로 입과 코를 가리는 것이 좋다. 화장지나 손수건이 없다면 대신 옷 소매 위쪽을 이용한다.

또한 사람이 많이 붐비는 장소 방문은 가급적 자제할 것을 권하면서 부득이하게 방문할 경우 일반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발열 및 기침, 호흡곤란 등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일반 마스크를 착용하고, 즉시 의료기관에서 진료 받을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중동지역 여행을 다녀온 뒤 14일 이내 발열이나 호흡기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거주지 보건소에 신고를 하고 즉시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보건복지부는 덧붙였다.

뉴미디어부01 maeil01@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