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천 수도산으로 두 번 도망친 반달가슴곰 운명은?

"나는 또 지리산으로 가나요, 울타리에 갇히나요"

서식지인 지리산에서 90㎞ 떨어진 경북 김천 수도산으로 두 번이나 도망친 반달가슴곰이 자칫 평생 울타리 안에 갇힌 채 지내야 할 처지에 놓였다. 30일 환경단체 등에 따르면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최근 두 번이나 지리산을 떠나 김천 수도산에서 포획된 지리산 반달가슴곰(KM-53)을 영구 회수하거나 다시 지리산에 풀어놓는 방안을 놓고 고민 중이다. 사진은 지리산에서 90㎞ 떨어진 수도산에서 포획된 반달가슴곰. 연합뉴스
서식지인 지리산에서 90㎞ 떨어진 경북 김천 수도산으로 두 번이나 도망친 반달가슴곰이 자칫 평생 울타리 안에 갇힌 채 지내야 할 처지에 놓였다. 30일 환경단체 등에 따르면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최근 두 번이나 지리산을 떠나 김천 수도산에서 포획된 지리산 반달가슴곰(KM-53)을 영구 회수하거나 다시 지리산에 풀어놓는 방안을 놓고 고민 중이다. 사진은 지리산에서 90㎞ 떨어진 수도산에서 포획된 반달가슴곰. 연합뉴스

서식지인 지리산에서 90㎞ 떨어진 경북 김천 수도산으로 두 번이나 도망친 반달가슴곰이 자칫 평생 울타리 안에 갇힌 채 지내야 할 처지에 놓였다.

30일 환경단체 등에 따르면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최근 두 번이나 지리산을 떠나 김천 수도산에서 포획된 지리산 반달가슴곰(KM-53)을 영구 회수하거나 다시 지리산에 풀어놓는 방안을 놓고 고민 중이다.

2015년 1월 태어난 이 수컷 반달곰은 그해 10월 지리산에 방사됐으나 귀에서 발신기가 떨어져 위치 파악이 되지 않다가 지난달 15일 서식지에서 90㎞나 떨어진 수도산에서 발견됐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반달곰을 곧바로 지리산으로 데려와 대인 기피 및 자연 적응 훈련을 시킨 뒤 지난 6일 지리산에 재방사했다.

그러나 결국 반달곰은 일주일만 지리산에 머물다 이동을 시작해 경남 함양과 거창을 거쳐 다시 수도산으로 옮겨 머물다가 포획됐다.

환경부는 반달곰이 지리산에 적응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재방사할 방침이다.

그러나 재방사된 뒤 다시 수도산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커 보이면 영구회수 조치해 울타리 안에서 사육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환경단체들은 반달곰을 지리산이 아닌 수도산에 방사하는 방안을 환경부에 제시하고 나섰다. 곰이 원하는 곳에서 살게 해주자는 것이다.

곰이 두 번씩이나 이곳을 찾아갔고, 특히 지난 20일 수도산에 들어간 뒤 5일간 움직이지 않다가 다시 포획된 점으로 미뤄 이곳을 서식지로 선택한 것으로 봐야 한다는 게 환경단체 주장이다.

환경부는 그러나 수도산 방사에 난색을 표한다. 수도산에 방사할 경우 인근 주민들이 안전을 이유로 불안해할 수 있고, 이 수컷 곰이 짝없이 외롭게 지내야 한다는 것이다.

환경부 고위 관계자는 "다음 달 중순 학자들과 환경단체 관계자들이 모인 가운데 전문가 워크숍을 열어, 지리산에 방사된 개체 현황 및 관리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라며 "여기서 수도산으로 이동한 반달곰의 거취가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