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평창동계올림픽이 써 내려갈 새로운 역사가 9일 시작됐다. 평창동계올림픽의 개회식이 9일 평창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이날 개회식을 시작으로 25일까지 평창, 강릉, 정선에서 17일간의 열전에 돌입했다.
이날 개회식에는 문재인 대통령과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김정은 북한 조선노동당 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 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특별대표인 한정 상무위원 등 향후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를 위한 중요인사 등이 대거 참석했다.
이 밖에도 프랑크 발터 슈타인마이어 독일 대통령, 안토니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 등 16개국 정상급 외빈이 자리를 빛냈다. 또 최문순 강원도지사와 최명희 강릉시장, 심재국 평창군수, 전정환 정선군수, 김동일 도의장, 민병희 도교육감, 이희종 강원일보 사장, 김진선 전 지사 등 개최지 주요인사도 함께했다.
평창동계올림픽은 전 세계 92개국 선수와 임원 6천500여 명과 각국 취재진, 올림픽 패밀리, 관광객 등 5만여 명이 참가하는 등 역대 최대 규모로 치러지게 된다.
이날 개회식은 우리 전통문화를 상징하는 조화와 현대문화 특성인 융합을 바탕으로 한 대규모 공연으로 채워졌다. 특히 강원도 어린이 5명과 함께 떠나는 여정으로 꾸며져 마치 동화를 보는 듯한 감동을 느낄 수 있었다. 1부 'LAND OF PEACE'(평화의 땅)에 이어 2부 공연 '태극: 우주의 조화'와 3부 '아리랑: 시간의 강'은 대한민국과 강원도의 정서를 담았다. 4부 '모두를 위한 미래'는 ICT강국의 이미지를 표현했으며, 마지막 5부 'PEACE IN MOTION'(행동하는 평화)에서 평화를 향한 평창의 의지를 전 세계에 천명했다.
태극기 게양 후 그리스를 시작으로 세계 92개국의 선수들이 새롭게 편곡된 88서울올림픽 주제가 '손에 손잡고', 조용필의 '단발머리', 싸이의 '강남 스타일', 빅뱅과 트와이스의 K-POP 등을 배경으로 입장했다. 흥겨움에 취한 선수들에게서 비로소 축제가 시작됐음을 느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남북한 선수들이 한반도기를 앞세워 아리랑과 함께 공동입장하면서 선수단 입장의 대미를 장식했다.
선수단이 모두 스타디움 좌석에 앉은 후 문재인 대통령이 개회선언을 통해 평창동계올림픽의 개막을 전 세계에 공식화했다. 이희범 평창조직위원장은 "이제 대회가 시작된 만큼 우리 국민을 비롯한 전 세계인들이 대한민국 평창과 강릉, 정선의 눈과 얼음에서 펼쳐질 지구촌 최대 규모의 겨울 스포츠 축제를 맘껏 즐기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