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매일칼럼] 앙천대소(仰天大笑)

김병구 편집국 부국장
김병구 편집국 부국장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가 최근 한국당의 황교안 대표와 김병준 전 비대위원장을 향해 내년 총선에서 서울 강북 험지에 출마할 것을 권유했다. 자신은 서울 동대문에서 내리 3선을 하고 민주당에 빼앗겼던 경남지사직을 되찾았는데, 황 대표나 김 전 위원장은 당을 위해 그동안 무엇을 했느냐는 핀잔과 함께.

또 대구 서문시장을 방문해서는 지역 초·재선을 향해 가소롭다는 듯이 꾸짖었다. (지역 초·재선들은) 따뜻한 고향에 앉아 매년 출마하면서 선배들 보고 험지 가라고 하는 것을 보니 영화 친구의 '니가 가라 하와이'가 생각난다고 꼬집었다.

그동안 당을 위해 헌신해 온 자신만이 따뜻한 지역에 그저 내려앉을 자격이 있고, 황 대표와 김 전 위원장, 초·재선들은 지역에 안주하지 말고 험지로 가라고 쏘아붙인 셈이다.

앙천대소(仰天大笑)할 일이다.

한국당에 헌신하고 대권에 관심 있는 자신은 그만큼 고생한 큰 인물이기 때문에 정치적 연관성이 크게 없는 지역이라도 당선되기 쉬운 곳에 낙하산 공천을 받아야 한다는 뜻인지도 모르겠다.

보수 진영의 지도자를 자처하는 이들이 모두 '따뜻한' 지역을 찾아 불나방처럼 몰려드는 모양새가 볼썽사납다.

대구경북의 현안이나 지역 발전에 대해서는 관심도, 언급도 없던 이들이 너도나도 어릴 적 추억이나 어쭙잖은 명분을 내세워 지역에 고개를 들이밀고 있으니 웃어야 할지, 반겨야 할지 모를 일이다.

황 대표는 '보수 재건'을, 홍 전 대표는 '서문시장 추억'을, 김 전 위원장은 '제 역할 하는 영남 지도자'를 내걸고 대구를 비롯한 따뜻한 지역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다.

특히 홍 전 대표와 김 전 위원장은 사실상 대구 출마를 염두에 두고서도 대구의 미래나 발전 방안에 대해서는 일언반구(一言半句)도 없다.

보수 정당 인사들의 지역에 대한 인식을 그대로 드러내는 대목이다. 국회의원 당선을 위해서는 지역 발전에 대한 청사진이나 노력보다 한국당 공천이 최우선이고, 이를 위해서는 당에 대한 충성도나 기여도가 훨씬 중요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런 측면에서 지역 문제에 하나하나 천착하고 있는 김부겸·홍의락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유승민 바른미래당 국회의원 등에 눈길이 쏠린다.

김 의원은 대구 도심 발전의 걸림돌이 되고 있는 제2작전사령부의 이전에 관심을 두고 있다. 또 홍 의원과 함께 경부선 철도 대구 도심 구간 지하화를 위해 예산 확보 등에 총력을 쏟고 있다. 이 두 가지 현안은 당장 실현이 어렵다 하더라도 대구시와 정치권이 대구 발전의 한 단계 도약을 위해 반드시 성사시켜야 할 장기 과제이기도 하다.

K2 군 공항 소음 문제 해결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온 유 의원은 '군 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통해 K2 이전의 발판을 마련,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이전을 목전에 두고 있다. 지역 발전에 힘써온 이들이 내년 총선에서 어떤 역할을 할지, 어떤 성과를 거둘지 주목된다.

보수 정당 지도자급 인사들이 '험지 출마'를 두고 아귀다툼을 벌이는 사이 여야의 촉망받는 젊은 두 정치인(임종석, 김세연)은 17일 정계 은퇴와 불출마를 선언, 지도자급 인사들을 멋쩍게 했다. 황 대표가 대선 불출마를 선언하고, 홍 전 대표와 김 전 위원장이 총선 불출마 또는 수도권 출마를 공언할 때 그나마 보수 지도자 대접을 기대할 수 있지 않겠나.

총선을 앞두고 지역 정치 지도자들이 자당(自黨)을 위해 얼마만큼 헌신했느냐가 아니라 지역과 시도민을 위해 얼마만큼 헌신했고, 앞으로 할 것이냐를 유심히 살펴야 지역민들이 '제 눈을 찌르는' 우를 범하지 않을 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