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5월 시행을 앞둔 공익직불제 영향으로 올해 농가소득이 평균 4천500만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2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0년 농업 및 농업경제 동향과 전망'을 발표했다.
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농가소득은 4천490만원으로 지난해 4천265만원(추정)보다 5.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공익직불제 도입에 따라 보조금 소득이 크게 늘어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중장기 농가소득은 연평균 1.7% 증가해 2029년에 5천35만원 안팎이 될 것으로 관측됐다.
올해 농업생산액은 지난해 50조4천280억원보다 0.8% 늘어난 50조4천380억원이 될 전망이다.
쌀 가격 상승으로 재배업 생산액이 1.4% 증가하는 반면 돼지·오리 가격 하락으로 축잠업 생산액이 0.3%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농가인구는 지난해보다 1.5% 감소한 224만명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65세 이상 농가인구의 비중은 46.2%로 농촌의 고령화 추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농림어업취업자수는 귀농귀촌 등의 영향으로 증가세가 이어져 지난해보다 1% 늘어난 141만명으로 예상됐다.
올해도 경지면적과 재배면적 감소세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 경지면적은 158만㏊, 재배면적은 164만㏊로 나란히 0.6% 감소할 것으로 관측됐다.
식품소비행태 변화에 따라 중장기적으로 수입과일과 육류 소비가 각각 연평균 1.5%, 0.7% 증가하는 반면 곡물과 채소 소비는 각각 0.9%, 0.4%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농식품 수출액은 지난해보다 2.2% 증가한 67억6천만달러에, 수입액은 4.9% 증가한 290억2천만달러로 예상됐다.
이에 따라 올해 농식품 무역수지 적자는 지난해보다 5.8% 증가한 223억달러가 될 전망이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