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을 앞두고 노장 정치인들의 이름이 하나 둘 언급되고 있다.
우선 '선거 청부사'라 불리는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미래통합당 선거대책위원장 하마평에 오르내리고 있다. 앞서 서울구치소에 수감돼 있는 '선거의 여왕' 박근혜 전 대통령도 옥중 서신으로 정치적 존재감을 알렸다. 현재 미래통합당 공천과 관련해 '사천' 내지는 '막천' 논란에 휩싸인 김형오 미래통합당 공천관리위원장도 포함할 수 있다.
정당마다 청년을 예비 정치인으로 영입하는 게 유행이고, 선거 연령도 지난 선거법 개정안 국회 통과에 따라 만 18세로 1살 낮아지는 등, 우리나라 정치가 점차 젊어지고 있는듯 하지만, 결정적인 장면엔 나이 많은 정치인들이 주인공으로 서는 모습은 분명하다.
이창호처럼 10대 기사도 세계 챔피언이 될 수 있는 바둑과 달리, 정치는 아무래도 시간이 쌓아주는 경험이 단수를 높여주는 모습이다.
▶앞서 언급한 3인의 현재 나이는 이렇다.
김종인 나이는 81세. 1940년생이다.
박근혜 나이는 69세. 1952년생이다.
김형오 나이는 74세. 1947년생이다.
과거와 달리 평균수명이 늘어난(2018년 기준 한국인 평균수명 82.7세. 단 여자가 85.7세, 남자는 79.7세) 요즘엔 박근혜와 김형오는 한창 나이이고, 80세를 넘긴 김종인이 특기할만한 사례이다. 다만 박근혜는 어머니 육영수가 죽은 후 아버지 박정희 대통령을 보필한 청와대 영애 시절을 기점으로 정계에 꽤 일찍 입문한 노장으로 볼 수 있다. 김형오는 노태우 정부때 청와대 대통령비서실에서 근무한 데 이어 45세 때인 1992년 14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돼 정치 경력이 길다고는 볼 수 없다.
다만 이 기사에서는 정치 경력이 아닌 나이 자체만 다루기로 한다.
▶그렇다면 정치인들은 보통 몇 살까지 정치를 하는 걸까.
특히 쟁쟁한 정치인들이 모여 있는 국회에서는 길면 몇 살까지 활동하는 걸까.
'엄청난' 최고령 기록이 작성돼 있다. 1992년 85세의 나이로 14대 국회의원에 당선된 1907년생 고(故) 문창모 전 통일국민당 의원이다. 1995년 88세가 되면서 최고령 국회의원으로 기네스북에도 올랐다.
11, 12, 14, 17, 20대 등 국회의원 5선을 한 김종인(현재 81세)의 경우 나중에 한 두 번 더 국회의원을 해야 저 기록을 깰 수 있다.
문창모 전 의원 이후 80대 연령 국회의원 당선 기록이 쓰인 적이 없다. 현 20대 총선에서는 김종인이 가장 많은 77세의 나이로 당선됐다.(이후 탈당해 비례대표 의원직 상실) 그 다음으로 나이가 많은 사례가 박지원·강길부 의원이다. 둘 다 4년 전 20대 총선 당선 당시 75세였다.
현재 박지원과 강길부 둘 다 79세이며, 만약 4.15 총선(21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해 당선될 경우, 김종인의 기록을 깰 수 있고, 문창모 다음의 고령 국회의원 당선 기록을 세우게 된다.
물론 문창모 전 의원의 기록까지 넘으려면, 국회의원 임기 마지막 해에 88세 이상이 돼야 하는데, 박지원과 강길부의 경우 아직 9년이나 남았다. 쉽지 않다.
이 밖에 이번에 새롭게 4.15 총선에 출마하는 후보들 가운데서도 문창모 전 의원의 기록에 도전하는 고령자는 쉽게 보이지 않을 전망이다.
참고로 문창모 전 의원은 1996년 의원직 임기 만료 후 6년 뒤 94세로 사망했다.
▶그런데 정치 활동은 의원직에 있어야만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앞서 언급한 김종인, 박근혜, 김형오 모두 현재 의원 신분이 아니다. 사설 단체를 차려서도(김종인 대한발전전략연구원 이사장), 구치소 안에서도(박근혜는 서울구치소 수감 미결수 신분), 초빙돼 잠시 공천의 칼자루를 쥐고도(김형오 미래통합당 공관위원장) 정치를 할 수 있다. 의원이 아니더라도 유력 정당 대표를 할 수 있는(황교안 미래통합당 대표,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등) 등 원외 정치인의 활동이 눈에 띄게 활발한 것도 요즘 대한민국 정계 풍경이다.
넓은 범위로 보면 '뒷방'에서도 '훈수'를 두며 정치를 할 수 있다. 예컨대 새해가 되면 유력 정치인들로부터 새해 인사를 받아온 전두환 전 대통령도 아직까지 정치인이라고 할 수 있다. 전두환 전 대통령 나이는 올해 90세이다. 이 정도 나이에 활동하고 있는 현역 정치인이 혹시 또 있을까.
그렇게 따지면 2018년 93세로 사망한 故(고) 김종필 전 총리도 주목할만 하다. 김종필 전 총리는 2004년 17대 총선에까지 도전했다가 실패해 결국 9선 의원 기록에 머물렀다. 현재 국회의원 최다 선출 기록이 바로 9선이며, 김종필과 함께 김영삼 전 대통령, 박준규 전 국회의장이 공동으로 갖고 있다.
김종필 전 총리는 표면적으로는 정계에서 은퇴했지만 그 후에도 주로 서울 중구 신당동 소재 집에서 유력 정치인들과 만나며 정치 활동을 계속했다. 그의 사망 당시, 불과 2개월 전 이인제 자유한국당 충남지사 후보와 접견한 사진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생애 마지막까지 정치로 채웠던 셈이다.
잠깐, 조금만 더 범위를 넓히면, 2019년 98세의 나이에 사망한 故(고) 이희호 여사를 첫 손에 꼽을 수 있다. 故(고) 김대중 대통령의 부인이자 여성 운동가로 볼 수 있고, 그래서 정치인 이희호라고는 할 수 없지만, 2016년 안철수 무소속 의원이 당시 96세였던 이희호 대중평화센터 이사장을 서울 마포구 동교동 이희호 여사 자택에서 만난 적이 있는데, 이게 정치 뉴스로 화제가 된 바 있다. 이희호 여사는 정치인은 아니었지만 말년에 정치적 영향력은 꽤 보여줬던 셈이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최민희, 축의금 돌려줘도 뇌물"…국힘, 과방위원장 사퇴 촉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