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3700만원 빚 갚기, 챗GPT가 도왔다…美 여성 'AI 절약 챌린지' 화제

모바일 결제앱에 남은 돈, 중고 판매, 구독 취소까지…AI 조언으로 반 넘게 상환

GPU 자료사진
GPU 자료사진

AI의 조언에 따라 일상의 소비를 되짚고 신용카드 빚 수천만 원을 갚은 한 미국 여성의 이야기가 현지 방송을 통해 전해졌다.

미국 ABC방송은 11일(현지시간) 아침 뉴스 프로그램 '굿모닝 아메리카'를 통해 플로리다에 거주하는 부동산 중개업자 제니퍼 앨런이 인공지능을 활용해 약 3700만 원에 달하는 부채를 해결해나간 과정을 소개했다. 그는 틱톡을 통해 '30일간의 챗GPT 챌린지'라는 제목으로 그 여정을 공개했다.

방송에 따르면 앨런은 하루도 거르지 않고 인공지능 챗GPT에게 "오늘 내가 돈을 벌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냐"고 물었다. 이 단순한 질문을 반복한 결과, 한 달 만에 그는 1만1000달러(약 1516만 원) 이상을 벌었고, 이 중 1만2000달러(약 1665만 원)를 실제 신용카드 대금 상환에 썼다.

AI가 제시한 방법은 기존의 금융상담과는 확연히 달랐다. 앨런은 "챗GPT가 내 빚 총액을 수박에 적어 사진을 찍은 뒤, 이 사진을 '빚 예술(debt art)'이라 부르며 경매에 올리라고 했다"며, "실제로 그 사진을 51달러에 판매했다"고 말했다. 해당 영상은 틱톡에서 200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며 큰 관심을 받았다.

이외에도 챗GPT는 사용하지 않는 정기 구독 서비스 취소, 중고 물품 판매, 저장 식재료를 활용한 식단 구성 등 실생활에 밀착된 전략을 꾸준히 제시했다. 단순히 수익 창출뿐 아니라 지출을 줄이는 방식도 병행한 것이다.

앨런은 챌린지 과정 중 뜻밖의 발견도 있었다. 모바일 송금 플랫폼인 '벤모(Venmo)'에서 오랜 기간 방치된 100.8달러(약 13만 원)를 찾은 것이다. 또 "남편은 '우리는 주식 계좌도 없잖아'라고 했지만, 실제로는 잊고 있던 계좌에 1만200달러(약 1410만 원)가 남아 있었다"고 밝혔다.

한 달 간 이어진 이 실험은 앨런의 경제적 상황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왔으며, 그가 남긴 메시지는 간단했다. "매일 빚을 직시하고 기록하고 스스로에게 말하는 과정이 무엇보다 중요했다. 이제는 부끄럽지 않다."

이와 관련해 방송은 전문가 의견도 함께 전했다. 금융 분석기관 뱅크레이트(Bankrate)의 테드 로스먼 수석 애널리스트는 "최근 저축은 줄고 가계 부채는 늘어나는 추세"라며 "불필요한 대형 지출을 피하고, 기존 자산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AI는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지만, 재정 결정을 내릴 때는 스스로의 판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