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백프라자갤러리는 10일(일)까지 인간 실존과 사물의 본질적 문제를 무겁지 않은 표현 양식과 경쾌한 조형언어로 탐구해온 '최영림 드로잉전'을 연다.
전후 우리나라 화단에서 목가적 서정주의를 대변하는 화가 최영림(1916~1985)은 토속적인 민담과 설화를 근거로 한국적 해학미가 가미된 에로티시즘을 구현했던 대표적 화가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그의 작품 세계는 처자식을 고향에 두고 온 월남 작가의 망향의식이 바탕에 짙게 깔려 있어 현실세계의 고통을 환상적인 설화의 세계로 환치시켜 왔다.
최영림의 작품은 캔버스에 고운 황토 가루나 모래를 접착제로 바른 후 물감을 칠하고 그 위에, 목판화에서 영향 받은 선 중심의 간단명료한 묘사와 역동적 화면 구성이 특징이다.
평양 출생으로 1935년 제14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입선하며 일본 유학을 한 그는 1950년 한국전쟁 때 월남해 화단활동을 시작했다. 월남 이후 그의 작품 세계는 크게 3가지로 구분될 수 있는 데 '흑색시대' '황토색 시대' '설화시대'가 그것이다. 여기에 화풍은 표현주의적 경향과 '피카소의 영향'이 중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번 특별전에서는 인체와 풍경, 정물 등 다양한 주제의 드로잉 작품 60여 점과 유화, 판화 등 모두 70여 점이 선보인다.
드로잉 작품 중 대다수를 차지하는 여인상들은 현실 속 여성이 아니라 작가가 생각하는 이상적 여인의 모습들이다. 꽃이 만발하고 새와 짐승도 어울려 합창하는 봄 동산에서 꿈을 꾸듯 화폭 속 여인들은 밝고 청순하며 옷가지마저 훌렁 벗어버린 채 뛰어 놀고 있다. 이를 통해 최영림은 여성 이미지를 통해 태고적 모든 존재의 시작을 암시하고 있을 뿐 아니라, 여성이 갖는 생명 창조의 신비를 그려내고 있다.
중요한 것은 그의 작품 속 풍만한 가슴과 기이하게 큰 얼굴, 왜곡되고 과장된 몸매의 나부(裸婦)들은 욕망의 대상이라기보다 모성본능, 망향정신이 스며든 조형화 작업으로 볼 수 있다는 점이다. 문의 053)420-8015.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최민희, 축의금 돌려줘도 뇌물"…국힘, 과방위원장 사퇴 촉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