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숙원 사업인 취수원 문제를 해결할 방안들이 확정됐다. 환경부는 연구를 통해 대구 취수원을 다변화하기 위한 3가지 대안을 제시했다. 구미 해평취수장·안동 임하댐을 활용하거나 강변여과수를 개발한다는 내용이다. 문제는 대안별로 수량과 사업비 등 장단점이 있는데다, 반대하는 지역주민을 설득할 해법이 부족하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환경부는 5일 지난해부터 진행해 온 '낙동강 유역 통합 물 관리 방안 마련 연구'의 중간결과로, 대구의 취수원 다변화 대안 3가지를 공개했다. 우선 필요한 생활용수(하루 58만8천t) 중 일부를 대구의 문산·매곡정수장에 초고도정수처리시설(28만8천~35만8천t)을 통해 충당한다. 나머지 원수는 구미 해평취수장(30만t)·안동 임하댐(30만t) 등 외부에서 끌어오거나, 낙동강변여과수(23만t)로 충당한다는 것이다.
이에 필요한 비용은 강변여과수+초고도정수처리가 5천544억원으로 가장 적었다. 해평취수장+초고도정수처리가 7천199억원, 임하댐+초고도정수처리가 1조507억원 등이었다.
이 중 강변여과수는 사업비가 적지만 물 공급 안정성(수량)이 다른 대안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환경부는 평가했다. 아울러 시설관리가 어렵고 지하수 수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해평취수장과 임하댐은 수량이 풍부하지만 사업비가 많고, 무엇보다 해당 지역주민의 반대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 때문에 환경부는 상생기금 조성과 협력사업 신설, 지역 현안사업 추진 등 지원 방안을 마련했지만 반대를 잠재울 수 있을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주민의 상대적인 박탈감 등 취수원을 둘러싼 갈등은 단순히 사업비나 수량 측면에서만 해결하기 어려운 상황이다"며 "지원 정책만으로 주민을 설득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정부 차원의 조정과 지역 사회에 대한 이해 등 섬세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