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이번 방미 성과에 대해 "최고의 순방이었고, 최고의 회담이었다"며 큰 만족감을 표시한데 이어 여당도 앞 다퉈 맞장구를 친 가운데, 야권은 문 대통령의 귀국 직후인 24일 거친 표현을 소환했다. 한미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맹공을 가한 것이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이날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기업들이 44조원 규모의 대미 직접투자 계획을 발표했음에도 결국 손에 잡히는 성과를 가져오지 못했다"며 "현금을 지급하고 물건 대신 약속어음만 받아온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한 달 전 미국 방문에서 1억회분 백신을 확보했던 일본 스가 총리의 성과와도 비교되는 대목"이라고 했다.
한국군 55만명에 대한 미국의 백신 지원과 관련, 이종배 정책위의장은 "우리 당이 (자체 방미 사절단의) 사전 활동으로 추진했던 것"이라며 "백신 스와프에 대한 얘기는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었다"고 지적했다.
당권주자인 주호영 전 원내대표(대구 수성갑)는 "알맹이는 하나도 없는, 기업의 활약에 숟가락 얹기에 불과하다"며 모더나 백신의 국내 위탁생산에 대해서도 "포장 하청"이라고 평가 절하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도 "4대 기업의 피 같은 돈 44조원 투자를 소리만 요란한 빈 수레와 맞바꾼 기대 이하의 성적표"라고 맹비난했다.
백신 파트너십과 함께 여권이 이번 회담의 중요 성과로 내세운 북핵 해법과 관련해서도 국민의힘은 거칠게 따지고 들었다.
김기현 대표대행은 "한미 양국이 확고한 (비핵화) 의지를 재차 확인했다는 점 외에는 구체적 실천방안이 전혀 논의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획기적 변화가 있는 것처럼 포장하는 건 사실과 다를 뿐 아니라, 자칫 북에 잘못된 기대를 갖게 함으로써 향후 협상 과정에서 북한에 발목이 잡힐 수 있다"고 주장했다.
김 대표대행은 또 "이처럼 한미정상회담은 한마디로 문 정권의 협상력·외교력의 부재를 드러낸 것으로서, 성과 30에 실망 70의 회담"이라며 "건국 이래 최고의 성과라고 호들갑 떠는 것은 과도한 견강부회"라고 말했다.
안병길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자화자찬하며 성급히 축배를 들 것이 아니라, 국민들이 공감할 수 있는 구체적 대안과 로드맵을 제시하라"고 질타했다.
이 정책위의장은 "국내에서 탈원전을 추진하는 정부가 이번 회담에선 해외원전 세일즈에 합의했다"면서 "문 대통령이 직접 합의한 선언문인지 의심스러울 만큼 이율배반적"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용기 "내란선동 가짜뉴스 퍼나르면 일반인도 처벌" 국힘 "도련님, 카톡은 찢지 말아주세요"
탄핵 한 달 만에 與 지지율 증가…조급한 野 헛발질에 등 돌린 민심
"尹 지지율 46% 나와…2030 지지율도 40%대 ↑"
일반인 카톡 검열 논란에 여야 MZ 설전…"공산당식 통제 vs. 불법 방치"
옵티머스 사기 의혹 이혁진, 도피 중 美서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