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01}]
세상에 태어난 후 첫 기억은 6·25전쟁과 함께 시작됐다.
어머니 등에 업혀 시골집을 떠나 늦은 오후에 도착한 곳은 전쟁 발발 후 추가 징집된 장병들의 집결지. 전장(戰場)으로 떠나는 남편과 아들을 한 번이라도 더 만나려고 먼 길을 찾아온 가족들로 붐볐다. 많은 징집자 가운데서 남편을 찾아 헤매던 어머니가 다급히 쫓아가는 쪽에는 아버지가 차창 밖으로 우리를 향해 눈물을 훔치던 손을 흔들었다. 어머니 따라 함께 울면서 고사리손을 흔들어 주었으나 아버지 모습은 점점 멀어져 갔다.
몇 개월 후에 먼저 입대한 외삼촌을 통해 "아버지는 중부전선으로 투입되었다"는 이야기만 간접적으로 들었을 뿐 치열한 전투 상황으로 더 이상 소식을 알 수가 없었다.
추운 겨울밤, 깊은 꿈속에서 깨어 보니 캄캄한 방 안에 혼자 있었다. 무서워 방문을 살짝 열어 보니 담장 쪽 장독대에서 어머니 소리가 들려왔다. 엄마를 찾아가니 입고 있던 전쟁 구호품 코트와 담요로 감싸 주며 품에 꼭 안아 주었다. 전쟁터의 남편과 전우들의 안전을 비는 어머니의 기도를 들으며 스르르 잠이 들었다.
인천상륙작전으로 전선은 북쪽으로 모두 옮겨 갔으나 가끔 들려오는 후방지역 포성(砲聲)에 놀라 방문 유리 조각 창 떨림이 멎을 때까지 이불 속으로 달려가 숨기도 하였다. 이따금 높고 푸른 하늘에 전투기가 무서운 굉음과 함께 하얀 꼬랑지 두 줄을 길게 남겨 놓고 먼 하늘로 날아갈 때와 국군을 실은 군용트럭이 흙먼지 날리며 신작로를 지나가면 어머니는 한참 동안 전쟁터의 남편 생각에 잠겨 있는 듯했다.
몇 해 지나 드디어 반가운 휴전 소식이 있었으나 아버지는 몇 달 동안 연락도 없이 돌아오지 않았다. 몸이 불편한 어머니는 어린 아들을 논두렁에 앉혀 놓고 흙탕물 속에서 김매기를 하면서도 인근 도로변에 완행버스가 정차할 때마다 허리를 펴고 멍하니 바라보며 남편을 기다렸다.
늦가을 해가 질 무렵, 어머니와 외숙모, 외사촌 동생과 같이 이웃 과수원집 디딜방앗간을 빌려 햇곡식을 찧고 있었다. 방앗간 처마와 흙담 사이로 보이는 먼 신작로에서 우리 집 쪽으로 올라오고 있는 아버지 모습을 외숙모가 먼저 발견하고 "저기 고모부가 온다!"라고 외쳤다. 너무 반가워 외사촌 동생과 같이 밭둑길을 가로질러 뛰어가 자랑스러운 아버지의 좌우측 가슴에 안겼다.
제대 후 아버지는 틈틈이 전쟁터에서의 무용담을 들려주었다. 많은 내용 중 "포탄이 빗발치는 긴박한 전투 현장에서 방탄조끼를 입은 UN군 장병과 함께 겨우 탈출해 참호(塹壕) 속으로 빨리 들어가 겨우 살아남았다"는 이야기는 생각만 해도 아찔했다.
6·25전쟁 30년이 지난 현충일, 노병(老兵)이 된 아버지는 수많은 호국영령이 잠든 서울 동작동 국립묘지를 찾아 옛 전우들의 명복을 빌고 아무 말 없이 먼 북녘 하늘만 쳐다보았다. 이후 더 이상 국립묘지를 찾지 못했다.
세월이 더 많이 흘러 이제는 아버지도 국립묘지에 잠들어 있다. 휴전 후 다시 집으로 돌아와 오붓한 가족과의 행복한 삶도 잠깐, 힘든 투병 중 먼저 하늘나라로 황망히 떠나보냈던 사랑하는 젊은 아내와 함께·‧‧.
녹음이 깊어가는 6월, 호국보훈의 달이 다시 돌아왔다.
하나뿐인 소중한 생명과 젊음을 조국의 제단에 바치고 끝내 가족들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한 수많은 순국선열과 호국영령들, 그 유가족과 참전용사들의 고귀한 위국헌신 정신과 희생은 오늘의 대한민국과 함께 영원히 존중되고 기억되어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