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울진·울릉·영덕 등 3개 지역 인구가 저출산과 타지역 유출로 최근 10년 사이 10%이상 줄었다. 경북 23개 시군(-2.4%)과 비교해도 현저히 높은 수준이다.
행정안전부에서 2021년 10월 울진·울릉·영덕군을 포함한 89개 기초자치단체를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지만 뚜렷한 인구반전 효과는 없는 상황이다. 해당 지역 인구감소는 소비부진과 노동생산성 저하 등과 맞물리면서 기업투자가 크게 준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 포항본부가 19일 발표한 '경북 울진·울릉·영덕 인구감소 배경과 시사점'에 따르면 해당 지역 인구는 1992년 14만7천명에서 2020년 10만4천명, 2021년 9만2천명으로 계속 줄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출생과 사망 등 자연증감보다는 일자리 때문에 전출 등 사회증감 요인이 더 많았다. 특히 2017년 이후에는 저출산 속에서 순유출이 늘면서 인구 10만 선이 깨졌다.
순유출 비율은 사회초년생인 20~30대가 대부분을 차지했고, 이유는 취업과 직장 이전 등이 전체의 40%가량을 나타냈다.
한국은행 포항본부는 인구감소 배경에 대해 전기·가스·행정 등 정부정책에 크게 영향받는 공공부문 비중이 큰 해당지역의 산업구조에 있다고 봤다.
2018년 지역내 총생산의 경우 제조업 비중은 2.5%에 불과한데 반해 전기와 가스는 25%, 행정은 15.5%에 달했다. 특히 울진군의 경우 원자력발전 등 전기·가스 비중이 36.8%로 에너지 산업 의존도가 매우 높은 구조를 보였다.
고용도 임시나 일용직 등 고용안정성이 낮고 저임금이나 단순노무 등의 형태가 많았다. 때문에 지역 경기상황에 따라 인구가 이동하는 사례가 빈번했다.
여기에다 주거나 교통, 문화 등 정주여건도 좋지 못했다. 농어촌 지역 특성상 노후주택 비율이 높고 고속도로IC 및 고속철도역까지의 거리가 멀었다. 교육과 문화시설로의 접근성도 취약했다.
한국은행 포항본부 관계자는 "인구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제조업 기반의 산업을 육성하는 등 지역 특색에 맞는 산업기반 확충이 필요하다"며 "이를테면 원자력발전 등 에너지산업에 대한 투자와 청정자원을 활용한 관광인프라 구축, 귀농어촌 지원과 어업 선진화, 교통인프라 확충 등을 서둘러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