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의 새해 첫 출근일 지하철 탑승 시위가 무산됐다.
2일 오전 서울지하철 4호선 삼각지역에서 숙대입구역 방면으로 시위를 시도했으나, 서울교통공사가 저지하면서다.
전장연 회원 20여명은 이날 오전 9시 13분쯤 기자회견을 하고 '5분'이 표시된 시계를 들고 열차 탑승을 시도했다. 그러나 서울교통공사 직원들이 스크린도어 앞을 가로막았다. 이에 박경석 전장연 대표 등 회원들은 다른 승강장으로 이동해 계속 열차 탑승을 시도했지만 오전 11시 20분까지 계속 저지됐다.
전장연이 시계에 표시한 '5분'은 법원 조정안을 수용하는 의미로 해석됐다. 지난해 12월 19일 서울중앙지법은 서울교통공사가 전장연 및 박경석 전장연 대표 등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에서 공사가 2024년까지 19개 역사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고 아울러 전장연은 지하철 승하차 등의 관련 시위를 중단하는 조건으로 강제조정을 했다. 여기에는 전장연이 시위로 지하철 운행을 5분 넘게 지연시킬 경우 1차례당 500만원을 공사에 지급토록 하는 내용도 담겼다.
이에 대해 전장연은 전날(1일) 보도자료를 내고 "법원 조정안을 수용해 5분 내로 탑승하는 시위를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다음날(2일) 실제 5분 내 탑승 시위를 시도했으나, 이에 대해서도 공사 측은 저지한 상황이다.
공사 측은 "역 시설 등에서 고성방가 등 소란을 피우는 행위, 광고물 배포 행위, 연설 행위 등은 철도안전법에 금지돼 있다"며 오전 내내 시위 저지에 나섰다.
아울러 오세훈 서울시장도 어제 전장연의 '5분 시위 방침'을 전해듣고는 한 방송을 통해 "1분만 늦어도 큰일이 나는 지하철을 5분씩이나 연장할 수 있다는 건 어불성설"이라며 무관용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전장연은 지난 12월 20일 지하철 탑승 시위를 중단한 후 13일 만에 장애인 권리 예산 보장을 요구하며 시위를 재개했다. 전장연은 지난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올해 정부 예산에 장애인 권리 예산 요구액의 0.8%만 반영됐다고 시위의 이유를 들고 있다.
이날 전장연에 대한 압박은 서울시 및 서울교통공사 외에 경찰로부터도 나왔다.
경찰은 전장연의 시위가 저지된즈음인 이날 낮 기자간담회를 통해 지하철 탑승 시위로 출근길 지연을 초래한 전장연 회원 24명을 검찰에 송치했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