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동·위례신도시 개발 비리 사건'을 수사하는 검찰이 16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이 대표에게 적용된 혐의는 특경법상 배임, 특가법상 뇌물, 이해충돌방지법, 옛 부패방지법 위반, 범죄수익은닉규제법 위반 등 5가지이다.
검찰이 구속 영장을 청구했지만, 국회에서 체포동의안이 통과돼야 법원이 영장실질심사에 착수할 수 있다. 서울중앙지법의 '체포동의 요구서' 송부, 국회에 체포동의안 제출 등 일정을 고려할 때 체포동의안은 다음 주쯤 국회에 접수될 것으로 보인다. 체포동의안이 통과되려면 재적 의원 과반수가 출석해 이 중 과반수가 찬성해야 한다.
국회 역사에서 국회에 의원 체포동의안이 제출된 것은 60여 건이다. 이 중 16건이 가결됐다. 국회 회기 중 불체포 특권은 국회의원의 자유롭고 독립적인 의정 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다. 군사정권 아래에서 불체포 특권은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한 바가 있다. 하지만 민주화 이후 이 특권은 의원 개인의 비리·범죄에 대한 수사를 막는 방탄용으로 주로 이용됐다. 이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을 민주당이 부결시킨다면 의원 개인의 비리, 그것도 지방 권력과 부동산개발업자가 유착해 지역 주민들에게 돌아갈 이익을 가로챈 중대한 혐의를 비호하는 데 불체포 특권을 이용했다는 비난을 면할 수 없다.
이 대표와 민주당은 검찰 수사를 '없는 죄 만들기' '야당 탄압'이라고 주장하며, 정쟁을 접고 민생을 살피자고 줄곧 주장해 왔다. 그 말이 진심이라면 이 대표는 영장실질심사에 나가 법원의 판단을 받으면 된다. 이 대표 개인의 범죄 혐의에 대한 문제는 이제 법에 맡기고 국회는 그야말로 민생을 살펴야 한다. 그것이 민주당이 새롭게 전열을 가다듬어 국민의 정당으로 돌아오는 전기가 될 수 있다. 당론으로 정하든, 의원 자유투표에 맡기든 이 대표에 대한 체포 동의안이 부결된다면 민주당은 당 대표를 지키기 위해 국민의 곡소리를 외면하는 '사당'(私黨) 오명을 쓸 수밖에 없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