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동백서'(紅東白西) '조율시이'(棗栗柿梨). 과일은 붉은 것은 동쪽에 흰 것은 서쪽에 차린다. 즉 동쪽에서부터 대추·밤·감·배의 순서로 배열한다는 제사상 차림에서 유래된 말이다.
한국국학진흥원은 '제례문화에 대한 오해와 편견' 4번째 기획을 통해 "'홍동백서 조율이시'는 근거없는 제사상 차림이다"고 밝혔다.
소위 '남의 집 제사상에 감놔라 배놔라 한다', 남의 일에 간섭하지 말라는 의미처럼 '조율시이'(과일은 대추·밤·감·배의 순서로 배열한다) '홍동백서'(붉은 것은 동쪽에 차리고 흰 것은 서쪽에 차린다)라는 제사상 진설법은 한 마디로 근거가 없다는 의견이다.

진흥원에 따르면 조상제례의 지침서인 주자가례의 제사상차림에는 과일의 구체적인 명칭을 제시하지 않고 '과'(果)로만 그려져 있고, 모두 6종이다.
다만 주석서에는 '시과'(時果), 그 계절에 수확되는 과일을 차린다고 되어 있다. 조율시이(대추·밤·감·배)가 제사상의 기본 과일이 된 이유는 이들 과일이 우리나라의 풍토에 가장 적합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조선시대 유형원이 저술한 '반계수록'(1769년)에서도 묘목을 심을 때는 뽕나무와 대추·밤·감·배나무를 비롯해 여러 과일 나무를 심을 것을 권장하고 있다.
또, 예전부터 집을 지을 때도 앞마당과 뒷산에 대추나무·밤나무·감나무·배나무를 심는 것이 관행이었다. 그만큼 우리 풍토에서 잘 자라는 나무라는 뜻이다.

한국국학진흥원은 지난 2017~2020년에 전국 종가의 제례음식을 조사한 결과 과일과 채소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어류에서는 지역별 특징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갯벌이 풍부한 전라도와 충청도에서는 낙지와 꼬막, 홍어 등이 올라가지만 경상도에서는 문어를 최고 제물로 여긴다. 이런 현상은 주자가례 등 모든 예서에 제물의 구체적인 명칭이 없는 탓에 자연스럽게 지역 산물을 중심으로 제사상을 차린 데서 비롯됐다는 것이다.
김미영 한국국학진흥원 연구위원은 "조율시이나 홍동백서 등의 근거는 명확하지 않다. 아마도 근대 이후에 민간에서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면서 "주자가례에서 '향토'(鄕土) 음식을 중심으로 제사상을 차린다고 했는데, 여기에는 지역성을 비롯해 계절성과 시대 상황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뜻이 포함돼 있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