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벼 재배면적이 감소하면서 쌀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1.6% 줄었다.
통계청이 14일 발표한 '2023년 쌀 생산량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쌀 생산량은 370만2천t으로 지난해보다 1.6%(6만2천t) 감소했다.
재배면적이 70만8천12㏊(헥타르·1만㎡)로 작년보다 2.6%(1만9천42㏊) 줄어든 영향이다. 이는 여의도의 65배 정도의 면적이다. 올해 재배면적은 1975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작다.
다만 지난해보다 기상여건이 좋아지면서 단위당 생산량은 증가했다. 10a(아르·100㎡)당 벼 생산량은 523㎏으로 작년(518㎏)보다 1.0% 늘었다. 벼 낟알이 형성되는 7∼8월에 일조시간이 증가하는 등 기상여건이 좋았기 때문이다.
9∼10월 날씨 변화와 병충해로 지역별로 생산량 편차를 보였다. 시도별 쌀 생산량은 ▷전남(73만7천t) ▷충남(72만7천t) ▷전북(58만2천t) 순으로 많았고 강원(4.0%)과 충남(0.2%)은 지난해보다 생산량이 늘었다.
경북의 경우 지난해 생산량보다 2.0% 감소해 전국 평균보다 더 많은 감소량을 기록했다. 전북(-6.3%), 경남(-1.7%)도 전국 평균(-1.6%)보다 감소율이 높았다.
댓글 많은 뉴스
"TK신공항, 전북 전주에 밀렸다"…국토위 파행, 여야 대치에 '영호남' 소환
구미 '탄반 집회' 뜨거운 열기…전한길 "민주당, 삼족 멸할 범죄 저질러"
헌재, 감사원장·검사 탄핵 '전원일치' 기각…尹 사건 가늠자 될까
계명대에서도 울려펴진 '탄핵 반대' 목소리…"국가 존립 위기 맞았다"
尹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임박…여의도 가득 메운 '탄핵 반대' 목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