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안귀령 "김승희 첫째 학폭 학폭위 없이 마무리, 김건희 최측근인 점 작용 의심"

안귀령, 김승희, 김건희. 매일신문DB, 연합뉴스
안귀령, 김승희, 김건희. 매일신문DB, 연합뉴스

앞서 둘째 자녀가 가해를 저지른 학교폭력(학폭) 사건이 논란이 돼 사퇴한 김승희 전 대통령실 의전비서관의 첫째 자녀도 학폭 사건의 가해자였다는 한 언론 보도가 25일 나오자, 더불어민주당이 "윤석열 정권 실세 자녀들의 학폭 사건과 무마 의혹에 국민의 인내심은 한계에 다다랐다"고 꼬집었다.

이는 마침 이날 윤석열 대통령이 임명한 김명수 신임 합동참모본부(합참) 의장도 과거 딸의 학폭 사건이 인사청문회에서 논란이 됐던 걸 묶어 비판한 맥락이다.

안귀령 더불어민주당 상근부대변인은 이날 '김승희 전 비서관은 첫째 자녀의 학폭마저 들킬까봐 서둘러 사표를 던졌습니까?'라는 제목의 논평을 내고 "김승희 전 대통령실 의전비서관의 자녀 학폭 문제가 점입가경이다. 김승희 전 비서관의 둘째 자녀에 이어 같은 학교에 다니는 첫째 자녀도 학폭 가해자로 지목됐다. 심지어 첫째 자녀의 학폭 사건은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학폭위)도 열리지 않고 학교장 중재로 마무리된 것으로 알려졌다"고 했다.

이어 "김승희 전 비서관은 첫째 자녀의 학폭 사건마저 들킬까봐 서둘러 사표를 던졌나?"라고 물으면서 대통령실에 대해서도 "이러한 사실을 알고 사태 축소를 위해 사표를 수리해줬나?"라고 질의했다.

안귀령 부대변인은 "보도에 따르면 첫째 자녀의 학폭 사건이 벌어졌을 때부터 교내에 부친이 김승희 전 비서관이라는 소문이 파다했다고 한다. 첫째 자녀의 학폭 사건 처리에 부친이 대통령실 의전비서관이자 김건희 여사의 최측근이라는 점이 작용한 것으로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자녀 학폭 사건이 끊이지 않고 있다. 대통령의 안이한 인사가 부른 참사다. 따라서 김승희 전 비서관 문제 역시 면직으로 끝낼 일이 아니다"고 지적하면서 "윤석열 정권 실세 자녀들의 학폭 사건과 무마 의혹에 국민의 인내심은 한계에 다다랐다. 대통령실은 김승희 전 비서관 두 자녀의 학폭 사건과 사표 수리 관련 의사소통 과정을 명명백백히 국민 앞에 밝히시라"고 요구했다.

그는 "국민은 대통령실이 언제까지 침묵으로 국민의 물음에 답하길 거부하는지 지켜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김대기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김승희 전 비서관이 내부 징계 없이 사퇴한 것을 두고 "대통령 순방 전날 의전비서관을 내보낸 게 가장 큰 징계"라고 답한 바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