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20∼50대 절반가량은 꼰대가 될까 봐 두려움을 갖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들이 꼽은 꼰대 특징 1위는 '굳이 안 해도 될 조언이나 충고하는 사람'이었다.
시장조사 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는 9일 전국 만 19∼59세 직장인 남녀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3 꼰대 관련 인식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들은 '꼰대'라는 단어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꼰대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를 묻는 말(중복응답)에 '권위적이다'라는 답이 62.0%로 가장 많았다. 이어 '고집이 세다'(58.7%), '말이 통하지 않는다'(53.7%), '참견하기 좋아한다'(44.2%) 등의 순이었다.
꼰대의 특징으로는 '굳이 안 해도 될 조언이나 충고를 한다'(57.8%)를 절반 이상의 응답자들이 택했다.
이어 ▷'요즘 젊은 애들'이라는 말을 자주 한다'(50.7%) ▷'그래도 옛날에 비하면 나아졌다는 말을 종종 한다'(49.5%) 등으로 많은 응답이 나왔다.
꼰대 성향인지를 가늠할 수 있는 요소로는 '말투'가 87.0%로 가장 많았고, 가치관(75.9%)과 오지랖(74.1%) 등도 응답률이 높았다.
다만 나이를 택한 비율은 29.2%로 낮았다. 응답자 93.5%는 '나이가 많다고 다 꼰대는 아니다'고 인식했다.
응답자들은 조직에서 꼰대 성향이 강한 사람의 특징으로 61.3%가 '능력은 없으면서 대접받기를 바란다'고 응답했다. '자기 생각에 대해 강한 확신이 있다'(50.8%), '서열에 따라 옳고 그름을 판단한다'(44.6%)라는 응답도 많았다.
특히 응답자들은 자신이 꼰대가 되는 것에 대해 큰 두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47.0%는 '나도 언젠가 꼰대가 될 것 같다'고 말했고, '꼰대가 될까 두렵다'는 응답 비율은 44.8%였다.
'꼰대가 되지 않기 위해서 필요한 태도'에는 '내 가치관이 틀릴 수 있음을 인정'(56.0%), '잘못된 부분을 고쳐 나가려는 태도'(45.0%), '나이나 지위로 대우받으려 하지 않는 태도'(44.1%) 등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는 "꼰대라는 단어가 부정적 의미로 사용되면서, 자신이 꼰대인지 아닌지를 스스로 평가하고, 검열하는 분위기가 감지된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