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현행 65세인 노인 연령 기준 상향(上向) 논의에 나서려는 이유는 고령인구 증가 속도가 워낙 빨라서다. 올해 노인인구 비율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했는데, 2072년이면 비율이 47.7%에 달한다. 연금 등 복지 분야 의무 지출도 2024년 347조원에서 2028년 433조원까지 급속히 늘어난다.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기초연금 수급 연령을 65세에서 70세 이상으로 바꾸면 2023∼2024년 13조1천억여원을 절감할 수 있다. 건강이나 기대여명을 봤을 때 과연 65세가 노인이냐는 사회적 인식도 한몫한다.
노인 연령 상향은 당면(當面) 과제이지만 세계 주요국 중 가장 높은 노인빈곤율이 고민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에 따르면, 2018년 기준 노인빈곤율은 43.4%로 OECD 회원국 평균(13.1%)의 3배를 웃돈다. 정년 후 재취업에 나서면 임금이나 근로조건이 열악한 노동시장으로 내몰린다. 정년 연장의 경우 기업들은 비용 부담을 이유로 꺼리고, 청년들은 고용시장이 줄어든다며 난색을 표한다.
세대 간, 계층 간 이해관계가 첨예(尖銳)한 문제다. 단지 노인 기준을 높여서 재정지출을 줄이자는 접근법은 곤란하다.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 22일 적은 소득 때문에 건강보험 피부양자에서 탈락하는 경우나 실거주 의무 때문에 주택연금조차 못 받는 일이 없도록 바꾸겠다고 했는데, 매우 바람직하다. 정년 연장이나 연공서열에 따른 임금 차등 지급 등 노동시장 문제부터 국민연금 개혁까지 노인 연령 상향에 차근차근 대비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실핏줄 터졌다"는 추미애…주진우 "윽박질러서, 힘들면 그만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