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한국에 26% 상호관세율을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내수도 어려운 상황에서 경제 성장을 견인할 수출에 비상이 걸렸다. 미국과의 주요 교역국인 중국(34%), 베트남(46%), 대만(32%), 일본(24%), 인도(26%)에 비해 나쁘지 않은 관세율이어서 최악은 면했다고 볼 수 있지만 세계적 무역 전쟁으로 비화(飛火)할 경우 충격파는 상상을 초월할 수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예고했을 때 한국 정부는 경쟁국보다 낮은 관세율을 적용받는 데 외교력을 집중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양국이 거의 모든 품목에 무관세를 적용하는 만큼 상호관세 예외 국가로 지정될 수 있다는 희망 섞인 기대도 나왔다. 그러나 장밋빛 전망에 그치고 말았다. 애초에 FTA는 상호관세 방어벽이 될 수 없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집권 당시에도 한미 FTA를 불공정 무역이라며 개정을 요구해 관철시킨 바 있고, 이후 미국의 무역적자는 오히려 더 커졌기 때문이다.
상호관세 발표 전부터 수출엔 비상등이 켜졌다. 자동차와 반도체 수출은 1분기부터 주춤거렸고, 분기 수출액도 2% 넘게 줄었다. 26% 상호관세 부과는 수출 전망을 더 어둡게 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내 한국 제품 가격 상승으로 경쟁력을 담보할 수 없게 됐으며, 무역 상대국들이 보복(報復) 조치까지 내놓으면 글로벌 공급망이 흔들리고 물가 상승 압력이 거세져 경제 전반이 위태로워진다.
산업별 파장을 면밀히 분석하고 대비 태세를 갖추는 한편 한·미 통상 협상을 준비해야 한다. 26% 관세율은 선언(宣言)적 공세일 가능성이 높다. 철저한 협상 준비를 통해 상호관세율과 자동차·철강 등의 품목별 관세율을 낮춰야 한다. 미국은 30개월 이상 소고기 수입 제한 완화 등 비관세 장벽의 전면 철폐와 함께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 투자를 요구할 것이다. 정치적 리더십마저 취약한 상황에서 국운을 결정지을 수 있는 중차대한 시간이 다가오고 있다. 통상 협상은 이제 시작이다.
댓글 많은 뉴스
한동훈 "조국 씨, 사면 아니라 사실상 탈옥, 무죄라면 재심 청구해야"
"尹 구치소 CCTV 영상 보겠다"…민주당, '자료 제출' 요구하나
'조국 특사' 때문?…李대통령 지지율 51.1%, 취임 후 최저치
"횡령 의도 없다"…경찰, 문다혜 '바자회 모금 기부 의혹' 무혐의 처분
'전교조 출신 첫 교육부 장관, 민변 출신 여가부 장관'…청문회 순탄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