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답을 찾고 정책으로 바꾸는 것이 지방의회의 본질이라고 생각합니다."
김명국 고령군의원(국민의힘)은 '군민 중심의 열린 의회'를 기치로 공부하는 정책의회, 실천하는 소통의회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김 군의원은 "지방의회가 제 역할을 하려면 공부하고 설계해야 한다"며 "예산을 감시하는데 그치는 게 아니라 정책을 발굴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능동적 의회로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9대 전반기(2022년) 의장을 지내기도 한 김 군의원은 집행부에 대한 단순한 감시와 견제를 넘어 정책 생산과 민생 해결을 중심에 둔 의정활동으로 상당한 성과를 내고 있다. 지방의회의 가장 기본적인 역할인 입법활동을 통한 성과가 대표적이다.
김 군의원은 지난 4월 통과시킨 '고령군 인사청문회 도입에 관한 조례안'을 통해 고령군 산하 출자·출연기관장 임명 시 인사청문 절차를 도입해 투명한 인사검증시스템을 구축했다. '고령군의회 의원 정책개발단체 구성 및 운영 조례안'을 대표 발의해 군의원들의 자율연구모임의 법적 근거를 만들었고, '행정사무감사 불출석 증인 과태료 조례' 개정을 통해 집행부 감시기능의 실효성을 높였다.
김 군의원은 지역문제를 정책이슈로 부각시켜 해결책을 제시하는데도 탁월한 능력을 발휘했다. 인구 감소, 청년 고용, 농촌 스마트화 등 지역의 당면한 위기와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고령군만의 인구늘리기 특화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와 관련, '청년 귀농·창업 인센티브''스마트팜 기반 조성책' 등 구체적 대안을 제시해 실효성 있는 정책으로 이끌어내기도 했다.
또 '고령사랑 주소 갖기 운동' '평생학습도시 지정 결의문 채택' '공공일자리 확대' 등 생활밀착형 정책 실현에도 앞장섰다.
김 군의원은 "공부하는 의회, 말보다는 실천이 앞서는 의회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군민이 웃을 때 의회의 존재 이유가 있다고 본다. 앞으로도 현장에서 답을 찾고, 소신 있게 실천하는 군민의 일꾼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김 군의원은 그동안 고령청년회의소 회장, 고령군족구협회장, 새마을문고 부회장 등을 역임하면서 '현장형 정치인'으로 자리매김해왔다. 지역민들의 교육기회 확대, 체육 진흥, 사회적 약자 보호 등을 통해 현장형 정치인으로서의 모델을 확립하고 있는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젓가락 발언'에 이재명 입 열었다…"입에 올릴 수 없는 혐오, 부끄럽다"
이준석 "단일화는 김문수 사퇴 뿐"…국힘 "10% 지지율로 승리 불가"
대구 찾은 이석연 민주당 선대위원장 "이재명 뭐 잘못했길래 이렇게 푸대접 하나"
김문수+이준석 50.7%〉이재명 46.5%…거세지는 보수 단일화 요구
이준석 "추락만 남은 김문수…나만 이재명 잡는다" 단일화 데드라인 D-1 빨간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