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신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기재부를 '주식회사 대한민국'의 핵심사원이자 다른 부처의 파트너 역할을 하는 혁신적 조직으로 바꾸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전통적인 통제와 조정 기능에서 벗어나 국민 친화적이고 협력적인 부처로 거듭나겠다는 의지를 천명한 것이다.
구 부총리는 21일 오전 정부 세종청사 중앙동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부총리와 함께 하는 혁신 첫걸음-기재부가 달라졌어요'를 주제로 한 강연을 통해 새로운 기재부의 비전을 제시했다. 일반적인 취임사 대신 강연과 직원들과의 대화로 진행된 것이 특징이다.
구 부총리는 이 자리에서 "혁신적으로 다시 태어나는 기재부가 되어야 한다"며 기재부 혁신을 위한 5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먼저 '주식회사 대한민국의 핵심사원'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재부 직원들이 주식회사 대한민국의 주주인 국민에 대한 친절한 봉사자가 되어야 하며, 국민주권정부의 주인인 국민이 원하는 것을 어떻게 도와줄 것인지 생각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기재부가 '다른 부처의 파트너' 역할도 해야 한다고 했다. 앞에서 다른 부처를 이끌어나가는 역할보다 도와주고 밀어주는 부처가 되어야 한다며 관계 부처와의 협력과 융합, 지원을 강조했다.
'현장에서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도 당부했다. '현장 중심 문제 해결사'가 되어 항상 현장의 어려움을 살피고 모든 사고를 현장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혁신의 아이콘'이 되자고 강조했다. 항상 깨어있으면서 혁신적 아이디어를 내고, 그 아이디어를 업무와 결합하여 성과를 내야 한다며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내는 직원에게는 파격적 보상도 약속했다.
이와 함께 '똑똑한 일터' 만들기를 강조했다. 대면보고·대면회의 등 불필요한 형식을 최소화하고, 직급에 상관없이 누구나 부총리에게 새로운 아이디어를 직접 자유롭게 보고할 수 있는 문화를 만들며, 인공지능(AI) 기술 등을 활용해 업무 생산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강연 후 구 부총리는 직원들의 질의에 응답하며 자유로운 대화 시간을 가졌다. 직원들은 기재부에서 일하면서 가장 보람있던 일, 업무에 임하는 자세, 공직생활의 다짐 등 다양한 질문을 했으며, 혁신 노하우와 소통플랫폼, AI 기술을 활용한 업무 자동화 등 혁신 아이디어도 적극적으로 제시했다.
구 부총리는 "오늘 나온 아이디어를 정리해, 실현 가능한 것부터 즉시 시행하겠다. 혁신은 현장에서 시작되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이런 소통 기회를 통해 직원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새로운 기재부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허위 저격 논란 '백종원 저격수'… 과거 허위 방송으로 징계
전한길 "尹지지 후보 없으면 내가 당대표 출마"…입당후 논란 계속
文정부 장관, 강선우 갑질 폭로…"민원 안 들어주니 예산 삭감"
이진숙 후보자, 李 정부 첫 낙마…'갑질 의혹' 강선우 안고 가기로
우상호 "강선우 임명 강행은 與 지도부 의견…대통령 고민 많이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