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발생한 대형 산불로 막대한 피해를 입은 천년고찰 고운사가 광범위한 사찰림을 대상으로 자연복원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장기간에 걸친 자연 복원과 함께 숲 회복에 야생동물이 미치는 영향과 식생의 회복탄력성 평가 등도 함께 이뤄질 전망이다.
고운사와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안동환경운동연합, 불교환경연대, 서울환경연합 등 환경단체들은 4일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에서 '고운사 사찰림 자연복원 프로젝트' 브리핑을 열고 본격적인 현지 생태계 조사에 착수했다.
이번 산불로 고운사는 사찰림 249㏊ 가운데 97.6%인 243㏊가 피해를 입었다. 이는 산불 피해를 입은 국내 사찰림 중 최대 규모다.
고운사 등운 주지는 이날 브리핑에서 "식생 환경이 열악할 때 가장 먼저 자라는 게 소나무"라며 "고운사 주변 야산에 소나무가 우거진 건 산의 경사가 굉장히 급하고 토양이 얕아 환경이 열악하다는 증거"라고 했다.
이어 "이런 열악한 환경은 자연 복원 외에는 방법이 없다. 자연에 맡겨두고 이런 환경에 가장 적합하고 경쟁력 있는 종자가 자라도록 자연이 선택하는 숲으로 회복하는 게 가장 좋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식생 회복탄력성 평가와 야생 동물 서식지 조사 등 생태계 조사를 병행할 계획이다.
이규송 강릉원주대학교 생물학과 교수는 "피해 지역 복구에 가장 중요한 건 식생의 회복탄력성 평가와 토양 침식을 줄일 토양 안정성 평가"라며 "피해 지역의 현존 식생도를 작성하고 토양 안정도를 평가해 어떠한 복원 방식을 선택할지 다양한 대안을 제시할 것"이라고 했다.
야생동물 서식지 조사를 맡은 한상훈 한반도야생동물연구소 연구팀은 카메라 트랩과 초음파 장비를 활용한 중대형 포유류 및 박쥐류 조사 등에 나설 계획이다.
한상훈 소장은 "야생동물은 식물 종자를 널리 퍼뜨리는 숲의 관리자"라며 "숲이 원래 모습을 회복하는데 기여하는 야생 동물의 생태적인 기능을 과학적으로 규명할 것"이라고 했다.
환경단체들은 이번 프로젝트가 대형 산불 발생 이후 산림 복원에 기준을 마련하는 선례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 조사 결과를 근거로 내년부터 산림 관리 정책 제안과 자연 복원 유도 활동에 나설 계획이다.
김수동 안동환경운동연합 대표는 "산불 피해 산림을 끊임없이 벌채하고 임도를 내고, 인공조림을 하는 것이 과학적인 근거가 있느냐는 것을 검증하는 기회"라며 "자연복원이 숲의 생태적 가치와 생물 다양성을 회복하며 불필요한 예산도 줄일 수 있다는 근거가 될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진성준 제명 국회청원 등장…대주주 양도세 기준 하향 반대 청원은 벌써 국회행
[인터뷰] 주호영 국회부의장 "절박감·전투력 없는 국힘, 민주당에 못 당해"
국힘 당권주자들, 후보 등록 후 '찬탄'도 '반탄'도 나란히 TK로
진성준 "주식시장 안무너진다"…'대주주 기준' 재검토 반대
한미 관세협상 타결 영향?…李 대통령 국정지지율 6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