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립대 시설 안전인증률 절반에도 못 미쳐…경북대 31곳·금오공대 9곳 미인증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39개 국립대학 교육시설 중 802곳 안전인증 받지 않아
"대형 사고에 대비해 안전인증 서둘러야"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3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유회진학술정보관 실습실을 방문해 배터리 화재 사고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3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유회진학술정보관 실습실을 방문해 배터리 화재 사고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국립대학 건물의 안전인증률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해 교내 안전사고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25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문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39개 국립대학의 교육시설 가운데 802곳이 미인증 상태로 전체 인증률은 46.7%에 그쳤다.

'교육시설 등의 안전 및 유지관리 등에 관한 법률'(교육시설법)에 따르면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은 반드시 교육시설 안전인증을 받아야 한다. 미인증 시설은 화재, 붕괴 등 위급 상황 발생 시 대처가 어렵다.

전국적으로 미인증 건물 수는 서울대가 80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전북대 62건, 경상국립대 59건, 전남대 57건, 충북대 49건, 제주대 42건 등이 뒤를 이었다. 충북대, 목포대, 군산대는 대상 건물 중 단 한 곳도 안전인증을 완료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대구·경북권에서는 경북대 31곳, 금오공대 9곳 등 총 40곳의 교육시설이 아직 안전인증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 연구가 집중되는 대학에서는 안전사고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서울대는 지난달 배터리 폭발 화재가 발생했고, 2022년에는 폭우로 건물이 붕괴·침수되는 사고가 있었다. 같은 해 충북대는 입주 벤처센터에서 불이 났다. 부산대는 2019년 외벽 붕괴로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교육시설법에 따르면 법을 시행한 지 5년 이내인 올해까지 해당 대학들은 안전인증을 받아야 한다. 경북대와 금오공대는 현재 인증 절차를 밟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안전인증률이 절반에도 못 미치는 상황에서 대학별로 크고 작은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며 "혹시 모를 대형 사고와 재해에 대비해 안전인증을 서두르고, 학교시설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