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북 올해 흉부외과 전공의 수 3명 뿐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흉부외과학회 조사…"의정갈등으로 흉부외과 전공의 37%↓…전공의 있는 병원 25%↓"
"필수의료기피 심화…지역 흉부외과 수련시스템 사실상 붕괴"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이동 중인 의료 관계자. 연합뉴스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이동 중인 의료 관계자. 연합뉴스

의정갈등 이후 흉부외과 전공의 수가 37%가량 줄어들고 전공의를 보유한 수련병원은 25% 감소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5일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가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의정갈등 직전인 지난해 2월 전국 1~4년차 흉부외과 레지던트 수는 총 107명이었으나 이달 초 기준으로 68으로 집계, 지난해에 비해 36.5% 줄었다.

전공의 수도 수도권에 집중되는 등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서울이 42명, 경기·인천이 12명인데 비해 대전·충남은 6명,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이 각각 3명, 광주·전남, 전북이 각각 1명 뿐이었다.

의정갈등 전 수도권 전공의 비율은 107명 중 79명으로 73.8%였지만 이달 기준으로는 79.4%까지 늘어났다.

학회는 "대구·경북 지역 수련 전공의가 의정 갈등 전 10명에서 현재 3명으로 줄어드는 등 지역 인력 유출이 발생해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에 1∼4년차 전공의가 모두 수련중인 병원은 존재하지 않게 됐다"고 설명했다.

심장 수술을 시행하는 수련병원 중에서는 전공의가 한 명도 없는 곳이 7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정 갈등 전보다 더욱 늘어난 수치로, 이전에는 89개 병원 중 28곳이 전공의를 보유했지만, 갈등 후에는 21곳만이 전공의 수련을 유지하고 있어 나머지 68곳은 '전공의 제로' 상태다.

학회는 "의정 갈등 이후 필수의료 기피가 심화하며 지역 전공의 이탈과 미복귀가 이어졌다"며 "이 추세가 계속되면 지역 심혈관·폐암수술 등 중증 응급진료체계가 붕괴하고 환자 사망·합병증 위험이 현실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는 필수의료법만으로는 이미 붕괴된 지역 기반을 복구하기 어려우므로 국가 차원의 실태조사와 비상대책, 즉각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