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항지역 경제 위기. 포항시-포스코 반목이 원인' 지적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시-포스코 반목 속에 광양으로 제철산업 집중 투자 이뤄져
문충운 환동해연구원장 '공진적 WIN-WIN 정책 마련해야'

문충운 환동해연구원장이 25일 기자회견을 갖고
문충운 환동해연구원장이 25일 기자회견을 갖고 '포항 경제 회생을 위한 긴급 호소문'을 발표하고 있다. 신동우 기자

현재 발생한 포항지역 경제위기는 글로벌 철강경기보다 '포항시와 포스코 간 갈등'이 더 큰 악영향을 끼쳤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문충운 환동해연구원장은 25일 포항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역경제 회생을 위한 제안이 반드시 공론화되고 성사되기를 절박한 심정으로 호소한다"고 했다.

이날 문 원장은 "대내외적 상황 악화에 법인세 역시 2022년 967억원에서 2024년 150억원으로 추락하는 등 철강산업의 미래가 쉽지 않다"면서 "그럼에도 포스코는 광양지역 5조4천억원 이상 투자 등 미래 신사업 투자에 나서고 있다. 포스코의 투자가 포항을 떠나고 있는 셈"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단순히 글로벌 철강경기가 나빠져서 포항이 어려운가, 포항을 떠나지 않고 포스코가 남아 있을 명분이 있는가를 진지하게 반문해야 한다. 아직도 성장하고 있는 광양의 사정을 보면 포항의 구조적 문제를 발견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포항 경제와 관련된 상설협의체(가칭 리셋포항경제위원회) 설치 ▷규제 혁파 특별팀 상시 가동 ▷철강 전담 TF팀 구성 등 포항 해정의 최우선 순위를 기업지원에 둘 것을 제안했다.

지역 상생 모델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일본 최대 철강사인 일본제철이 소재한 이바라키현 카시마시 보여준 기업지원 사례를 제시하기도 했다.

문 원장에 따르면 카시마시는 일본제철을 위해 ▷조업과 고용 유지에 100억엔과 수소환원제철기술 R&D지원에 50억엔 등 직접적인 재정지원 ▷공업용수와 수도요금 인하 ▷녹지율을 비롯한 각종 인허가 완화를 통한 비용절감과 지방세감면 ▷인력전환 배치와 하청업체 지원을 통한 고용·인구유지 등 시정역량을 집중했다.

끝으로 문충운 원장은 "지역경제 회생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포항시와 포스코의 협력 모델 복원이 절박하다. 그러나 포항시와 포스코의 복원 관계는 기약 없이 미뤄지다 어느새 '뜨거운 감자'가 됐다"며 "포항경제 회생의 출발은 바로 포항시와 포스코의 갈등을 극복하기 위해 이에 대한 공론화를 시작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