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과 금융권이 유례없는 공급 과잉과 경쟁력 약화로 위기에 처한 석유화학 산업 구조조정을 위한 금융 지원 준비를 끝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30일 은행연합회 및 17개 은행과 함께 '산업 구조혁신 지원 금융권 협약식'을 가졌다.
지난 8월 대통령 주재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석유화학 산업 경쟁력 회복을 위한 종합 대책 마련 지시가 나온 지 한 달여 만에 금융권의 지원책이 구체화된 것이다.
협약은 정상 기업이 부실에 빠지기 전 선제적으로 사업재편에 나설 경우, 채권단이 자율협의회를 구성해 만기연장, 이자율 조정, 신규 자금 지원 등을 제공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이번 협약은 선제적 사업재편의 틀을 마련했다는 의미가 있다. 석유화학산업이 첫 사례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사업재편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은 매우 난이도가 높은 작업인 만큼 주채권은행이 사명감, 책임감을 갖고 기업의 자구노력과 계획을 엄밀히 평가하고 타당한 재편계획에 대해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특히 권 부위원장은 "아직 석화업계가 제시한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이 미진하다"며 "시장에서 석화산업에 대한 의구심을 걷어내고, 기업의 의지와 실행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그림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 금융권은 협약 제정으로 모든 준비를 마쳤다"고 강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사업재편을 원하는 기업은 주채권은행에 구조혁신 지원을 신청할 수 있다. 신청이 접수되면 주채권은행은 해당 기업에 채권을 가진 금융기관들을 소집해 자율협의회를 구성하고, 외부 전문기관을 통해 기업이 제출한 사업재편계획의 타당성을 검토하게 된다.
이후 채권액 기준 4분의 3 이상의 찬성으로 만기연장, 이자유예, 신규 자금 지원 등 구체적인 금융지원 방안을 의결하고 기업과 약정을 체결해 본격적인 사업재편을 추진한다.
한편, 금융당국은 은행권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당근'도 제시했다. 은행권이 건의한 자산건전성 분류 기준에 대해 "이번 협약에 따른 금융지원은 정상기업에 대해 철저한 자구노력을 전제로 추진되는 만큼, 은행업 감독규정에 따라 자산건전성 분류를 상향할 수 있다"고 명확히 했다. 이는 부실 우려가 있는 기업을 지원하더라도 은행의 재무 건전성 부담을 덜어주겠다는 신호로 풀이된다.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지지율 심상치 않다…52%로 3주 연속 하락
中 관광객 '무비자 입국' 문 열렸다…2천700여 명 몰린 인천항 '북적'
尹 모습에 눈물 쏟아낸 전한길…"목숨걸고 지키겠다"
민주당·정부 "배임죄 폐지 기본방향으로 정해"
'행정망 마비'되자 2년전 李대통령 "장관 경질하고 잘못했으면 미안하다 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