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전문대학원 서둘일 아니다

교육개혁위원회가 22일 발표한의학및 신학 전문대학원의 신설 목적은 고도의 전문성과 덕망을 지닌 의사와 성직자 양성을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지난 46년부터 도입, 전국의 모든 의과대학이 취하고 있는 6년제 의대는 2년이란 예과과정에서 의학 예비학문을 가르치고 있어, 의학과의 연관학문을 충분히 접하기 어려워 다양하고 광범위한 지식과 교양을 갖춘 의사를 양성할수 없다는 문제점이 의학계 내부에서부터 꾸준히 제기돼 온 것이 이같은 개혁안의 당위성을 입증해 주고 있다.교개위는 구체적으로 정신과와법의학분야를 예로 들었다. 보다 전문적인의료시술을 위해서는 정신과의 경우 문학을 비롯한 인문 사회과학등 인접학문에 대한 전문지식을 광범하게 갖춰야 하고, 법의학 분야도 전공과목 이전에 법이론을 깊이있게 배워야 한다는 주장이 정신과와 법의학계 내부에서 간단없이 지적돼 왔다. 교개위가 제시한 개혁안이 이처럼 상당한 설득력을 지니고 있음에도 이의 실현까지에는 몇가지 문제점이 없지 않음을 지적하고자한다.

먼저 대학이 맞닥뜨릴 수 있는 문제로는 현행의 6년제 의대를 의학전문대학원으로 완전히 전환하거나, 일부 학생은 6년제로 뽑고 나머지 일부는 전문대학원으로 뽑는식의 절충형, 마지막으로 현행의6년제를 그대로 유지하는안을 채용할 수 있다. 어느 방식을 채용하든 대학의 자율에 맡긴다는 전제가붙어있긴 하지만 의대과정이 이처럼 복잡하게 운영될 경우 수험생과 졸업생모두에게 적지 않은 혼란이 따를 것임을 상정해야 한다.

특히 의사가 되기를 희망하는 수험생들의 고민은 보다 심각해진다. 깊이있는 공부를 하기 위해 전문대학원을 생각할 경우에는, 4년제대학을 일단 졸업한 후 다시 진학해야하는 이중의 입시부담을 감수해야 하고 졸업생들에게도 일반 의대 출신이냐, 전문대학원 출신이냐에 따라 다른 대우를 받는 등의미묘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사범대 출신 교사들과 일반대 출신 교사들 사이에서 벌어지고 있는 이른바 사계, 비사계의 갈등이 이와 유사한 예다.또 한가지의 현실적인 문제는 8년제 신설 전문대학원으로 인해 교육비와의료비의 상승요인을 들 수 있다. 이 때문에 의학계의 일부 전문가들은 일반대 졸업생들이 의대에 편입학하는 문제를 확대하는 방안이 보다 현실적이라는 대안을 제시하기도 한다. 결론적으로 이 문제는 실시시기를 서두르는 것이 능사가 아니라, 전문가들의 견해를 보다 넓게 수렴해 시간을 갖고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학전문대학원제도는 대학의 인가를 받지 못한 전국 2백70여개의 신학교들이 이번 조치로 일정 요건만 갖추면 전문대학원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길이 터진 점을 꼽을 수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