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언론 문건 파장-與野 입장

국민회의는 언론장악 문건과 관련, 전달자인 이도준 평화방송기자와 폭로자인 정형근의원간의 금품수수 사실을 계기로 그 진상이 이미 가려졌다는 자신감 아래 추가적인 공세를 가급적 자제하면서 정치권 개혁과 새해 예산안 등 시급한 현안처리 쪽으로 한나라당을 끌어내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문건정국을 야당의 정보매수 공작으로 집중 부각시킴으로써 비난여론을 고조시키는 등의 대야 압박전략도 병행하고 있다.

당은 1일 오전 국회에서 확대 간부회의를 갖고 대책을 논의, 이번 파문과 관련된 의혹들은 검찰수사와 국정조사에 맡기고 이번 주부터 예결위 구성과 정치개혁특위 재개 등을 통해 현안 처리에 박차를 가한다는 쪽으로 입장을 정리했다. 특히 내년 총선전략과 맞물려 있는 정치협상의 경우 이달말, 예산안 역시 내달 2일이 시한인 만큼 향후 일정이 촉박하다.

이처럼 공세를 자제키로 한 데에는 야당을 계속 강공으로 밀어붙일 경우 또 다른 변수 돌출 등으로 재반격에 몰릴 수 있다는 우려도 깔려 있다. 또한 정국의 성격상 계속 끌수록 여권에 불리하다는 상황인식 아래 조기 매듭에 주력하고 있을 법도 하다.

때문에 한나라당이 31일 국제언론기구에 진상조사 요청 서한을 보낸 데 대해 "국민을 속이려다 안되니 국제기구 까지 속이려 한다"며 "국가 망신을 자초한 행위"라고 거세게 비난한 이면엔 이같은 배경도 있는 셈이다.

같은 맥락에서 추가 공세를 자제하고 있음에도 그 초점은 오히려 정의원을 넘어 이회창총재 쪽으로 집중시키고 있는 형국이다. 즉 정보매수 공작이 정의원 개인이 아니라 당과 이총재 차원에서 이뤄진 만큼 조속히 대국민 사과를 해야 한다는 주장을 통해 야당 측 기세를 꺾겠다는 계산이다.

한편 정형근의원과 이도준기자 사이의 금품수수 관계가 드러나면서 수세에 몰린 한나라당은 국제언론기구에 서한을 발송하는가 하면 "이번 사건의 본질은 여권이 주장하는 정보매수 의혹이 아니라 현 정권의 언론장악기도"라며 공세를 계속하고 있다.

1일 총재단 및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이회창총재는 "정의원이 1천만원을 준 것은 지난 해 12월 이전"이라며 "이번 문건과는 관계없는 일"이라며 정의원의 입장을 두둔했다.

한나라당은 여권의 공세를 정보매수 의혹설을 통한 전형적인 '물타기'라고 주장하면서 "이번 사건의 본질은 현 정부의 언론장악 기도를 문건으로 만들었고 이를 대통령에게 보고해 그대로 집행했느냐 여부에 있다"고 주장했다.

이날 열린 회의에서 강창성부총재도 이번 사건은 국민회의와 현 정권이 강도범을 잡는 과정에서 다소간의 폭행이 일어난 것을 강도범은 버려두고 폭행사실만 문제삼는 적반하장 격이라고 지적했다.

또 이기자와 국민회의 이종찬부총재 측과의 밀접한 관계를 재확인시키면서 여권의 정치공작 음모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에 앞서 한나라당은 31일 IPI(국제언론인협회)와 WAN(세계신문협회), IFJ(국제기자연맹) 등 3개 국제언론기구에 언론대책 문건파문의 진상조사를 요청하는 E-메일을 발송했다. 하순봉총장 명의로 된 서한을 통해 한나라당은 지난 6월 작성된 이 문건은 한국언론의 약점분석과 중앙.조선.동아 등 빅3 신문사에 대한 통제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이런 내용은 6월 이후 현실화됐다"고 주장했다.

徐奉大.徐明秀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