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안에 신데렐라 콤플렉스를 죽여라'는 책을 쓴 한국여성 케이송이 지역사회 담당 공동부총장으로 있는 미국 남가주대학(university of southern califonia)은 일찍부터 동아시아에 관한 관심을 표명해온 미국 유수 대학 가운데 하나이다.
이 남가주대학의 동아시아에 대한 관심도는 60년대까지만 해도 중국, 일본쪽에 치우쳤는데 80년대 이후 한국에 대해 긍정적인 눈길을 보내면서 변화의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이런 변화의 절정판은 지난 3.1절에 이 대학의 동아시아 도서관이 캘리포니아주 도서관리국의 지원을 받아서 일년간의 작업끝에 미주한인디지털도서관 'KADA'(Korean American Digital Archive, www.usc.edu/isd/locations/cst/idala/collections_kada.html)를 완성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KADA가 완성됨으로써 초기 재미한인들의 이민 사료를 인터넷을 통해 검색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갖게 된 셈이다. 1903년에서 1965년 사이의 한인 이민 관련 사료 2천300여점을 인터넷에서 쉽게 검색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한국 개화기 및 근대화 초기의 역사복원에 큰 도움을 주게 됐다. LA한인연합감리교회내 옛 국민회(1938년에서 1960년대말 한인사회정치조직 본부) 건물에 보관돼있던 도산 안창호 선생 및 국민회 관련 공문서, 회의록, 서한, 미주 최초의 한인감리교 목사인 현순 목사의 문서전집, 일제 당시 다른 지역 독립운동가들과 주고받았던 서신, 회원명단 등 1만1천여쪽과 기록사진 1천300여장도 수록돼 있다.
이 대학 케네스 클라인 동아시아도서관장은 "디지털 자료관은 연구자들이 대부분 접할 수 없었던 해외한인사회의 중요한 문화유산 일부를 보관하고 있다"며 온라인 검색을 통해 LA 지역사회 연구자들은 물론 한국과 다른 세계 모든 국가에서도 열람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안방에서 클릭 하나로 해외 한인사회 관련 사료를 받아보게 된 변화의 기저에는 남편을 따라 미국에 갔다가 뒤늦게 공부를 시작하여 한국여성으로서 남가주대학의 핵심간부로 자리잡은 케이송 부부총장의 눈에 보이지 않는 지원과 '해외 한국학연구 및 문화유산기금' 오태현 소장의 공이 크다. 남가주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딴 오 소장은 지난해 12월1일에 1만달러를 이 대학에 기부했고, 그전에도 한국문화유산도서관에 총 33만7천달러의 기부금을 전달했다.
오프라인상에서 조국을 잊지않는 재외한국인들의 활약이 미주한인디지털자료관 개관이라는 온라인상의 결실로 나타난 것을 계기로 '기록문화 부재'라는 한국민의 대외 이미지가 불식되기를 바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첫 회의 연 국민의힘 혁신위, "탄핵 깊이 반성, 사죄"
강선우 '스쿨존 내로남불' 이어 '갑질 내로남불' 의혹에 우재준 "李대통령 어찌 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