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호르몬 등 유해물질이 포함된 음식물들이 갈수록 늘고 있다. 특히 저항력 약한 아기들은 그런 물질에 더 취약, 엄마들의 걱정이 크다.
가장 좋은 대응법은 유기 농산물을 선택하고 감미료·발색제·착색제 등이 많이 첨가된 식품은 피하는 것. 그러나 가공식품들 경우 첨가물을 피하기는 힘든 일. 그럴 때는 식탁을 어떻게 보호할 지 방법을 알아보자.
△어묵·맛살=어묵에는 단맛을 내는 물질 등 첨가물이 들어간 것이 있다. 그럴 경우엔 채반에 넓게 펴 펄펄 끓는 물을 한번 끼얹어 요리하면 좋다. 맛살도 될 수 있는 한 첨가물의 종류가 적은 것을 골라, 조리하기 전에 잘라서 뜨거운 물에 살짝 데친다.
△햄·소시지=조리하기 전 끓는 물에 삶으면 발색제와 보존제가 우려져 나간다. 소시지는 첨가물이 쉽게 녹아 나가도록 칼집을 넣어 1분 정도 볶거나, 뜨거운 물에 삶는다.
쓰고 남은 것은 칼로 자른 부위에 술이나 식용유를 발라두면 맛 변질이나 부패를 막을 수 있다. 공기에 닿지 않게 랩에 싸거나 용기에 담아 냉장 보관하는 게 좋다. 랩은 폴리에틸렌 제품이 비교적 안전하다. 연소할 때 다이옥신이 나오지 않기 때문.
△주스=천연과즙 주스라 해도 수입 과일을 농축해 물로 희석한 뒤 맛을 좋게 하는 첨가물을 넣어 만든 것이 있다. 될 수 있으면 주스를 집에서 갈아 만드는 것이 좋다.
사 먹을 경우엔 첨가물이 적은 것을 고른다. 구연산·과당 등이 첨가돼 있는 것 보다는, 원재료명에 '과즙'이라 적힌 것을 고른다.
△두부=조리하기 전에 10분 정도 물에 담가 첨가물이 어느 정도 빠지도록 한다. 물에 담긴 상태에서 산 것은 곧바로 깨끗한 물로 씻는다.
△라면=라면에는 면을 쫄깃쫄깃 하게 만드는 면류 알칼리제 등 첨가물이 들어 있다. 면을 한번 끓인 후 물을 완전히 따라 버리고 다시 끓인 물에 조리하는 것이 좋다.
수프는 되도록 적게 넣고, 야채·멸치 등을 많이 넣어 먹으면 유해 성분을 줄일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컵라면 같은 것은 피하는 게 좋다.






























댓글 많은 뉴스
택배 멈춘 새벽, 시작도 못 한 하루…국민 분노 치솟는다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원전 재가동 없이는 AI 강국도 없다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실핏줄 터졌다"는 추미애…주진우 "윽박질러서, 힘들면 그만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