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盧' 배제 신당 급물살

민주당 이인제 의원과 김중권 전 대표, 이한동 전 총리, 자민련 조부영 부총재가 18일 회동에서 '국민 통합신당'을 적극 추진키로 한 것은 향후 정치권의 제3신당 논의 급물살을 예고하는 것이다. 이들 4인은 이날 여의도 63빌딩에서 만찬회동을 갖고 "민주당내 신당 논의에 반대하며 문호가 전면개방된 '백지신당'을 독자적으로 추진하겠다"면서 5개항의 합의사항을 발표했다.

모임을 주선한 민주당 이강희 전 의원은 "민주당이 백지신당으로 되돌아간다면 합류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독자신당을 추진하겠다는 뜻"이라고 말해 사실상 독자신당 추진의사를 분명히 했다.이에 따라 친노(親盧).반노(反盧).중도파 등 세갈래로 진행되고 있는 신당 논의가 '반노'쪽으로 급격히 기울 가능성이 커졌다.

당내 비주류의 핵심격인 이 의원과 김 전 대표, 중도.보수 성향의 이 전 총리, 자민련 김종필 총재의 메신저로 참여한 조 부총재가 당 공식기구와 별개로 신당 추진에 나섰기 때문이다.

특히 5개항의 합의문 발표는 그 내용을 떠나 이들 사이의 신당 논의가 상당히 진척됐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당내 정파간 이해관계를 떠나 자민련과 이 전 총리까지 외연을 넓혔다는 점은 친노파와의 기세싸움에 일단 우위를 점한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 전 총리는 "합의문 발표 그대로 제3의 길을 모색한다는 뜻"이라며 독자행보 의지를 분명히 했다.

그러나 이 의원과 김 전 대표는 신당추진과 관련, "탈당하지는 않겠다"면서 당적을 유지한 채 별도 신당 논의에 참여하겠다고 선을 그었다. 노무현 후보와 세대결을 벌이되 당내 투쟁을 통해 '흠집'과 '명분'을 얻은 다음 '결행'의 수순을 밟겠다는 뜻이다.

이 의원은 이날 모임을 '창당 선언으로 봐도 되느냐'는 질문에 "아니다. 서로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모두가 신당을 만든다고 하는 차원에서 이해해 달라"고 했고 김 전 대표 역시 "민주당이 잘하기를 기대하며 민주당을 제쳐놓고 하려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날 회동결과에 대해 당 지도부와 친노측은 "정치적 수사(修辭) 외에 알맹이가 없다"며 냉담한 반응을 보였다. 합의문이 구체성을 띠지 않고 있고 탈당 결의도 없었다는 점, 신당 논의의 핵인 정몽준.박근혜 의원이 불참한 점 등을 들며 깎아내리는 분위기다.

한화갑 대표는 19일 최고위원 회의에서 "신당 추진은 민주당과 신당이 통합신당으로 가는 것"이라며 "당원이 밖에서 이렇다 저렇다 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이 의원과 김 전 대표를 간접 비난했다.

박상천 당 발전위원회 위원장은 "이 의원이 전화를 걸어와 '신당논의를 협의한 것일 뿐 합의는 하지 않았다'고 했다"며 "어제 모임이 왜곡돼 전달된 것 같다"고 주장했다. 김현미 부대변인도 "노 후보는 이날 모임 결과에 대해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고 말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