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청와대 직제 '2실장'투톱체제

당초 이번주까지 마무리하겠다던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의 청와대 비서실 인선 작업이 지연되고 있다.

내부논란을 거듭하던 청와대직제개편은 비서실장과 정책실장을 중심으로 한 투톱체제의 '2실장 5수석 5보좌관'으로 마무리됐지만 비서실장과 정무, 민정, 국민참여 수석, 인사보좌관만 내정됐을 뿐이다.

특히 신설되는 정책실장과 정책기획수석 및 경제보좌관 인선은 내정설이 나도는 가운데 새로운 인물이 부각되고 있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노 당선자측은 다음주 중반까지는 청와대인선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아래 인선작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당선자측은 인선작업이 당초보다 늦어지는 것에 대해 "적임자를 찾기 위해 신중에 신중을 기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시한을 정해두고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책을 총괄할 정책실장 인선시기에 대해 노 당선자가 7일 기자들과 만나 "장관급이니까 장관할때 같이 하는 것이 맞다"고 언급, 조각과 맞물려 단행할 가능성을 시사, 비서실 인선이 더 늦춰질 가능성도 없지않다.

정책실장에는 김병준 정무위 간사가 가장 앞서있는 가운데 김영호 전 산자부장관이 갑자기 떠올랐다.

김 전 장관은 국제금융과 일본문제에 정통한 경제학자로 노 당선자의 동북아중심국가론을 구체화하는데 일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관료가 맡을 경우 김진표 인수위 부위원장이 1순위로 꼽히고 있지만 정책실장이 노 당선자의 국정과제를 총괄한다는 점에서 김 부위원장은 기획예산처장관을 맡을 가능성이 높다.

정책기획수석은 정책실장을 정무형 인사가 맡을 경우 현직 경제관료가 맡을 가능성이 높다.

인선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홍보수석도 마찬가지다.

당초 정순균 인수위 대변인과 이병완 기획조정분과 간사 등이 경합했으나 외부인사 영입에 나서면서 혼선을 빚었다.

여전히 현직방송인의 영입설이 나도는 가운데 인수위 내부인사 기용설도 힘을 얻고있다.

장관급인 외교안보 보좌관의 경우 당초 윤영관 인수위 통일외교안보 분과 간사가 유력했지만 윤 간사가 서울대 교수로 돌아가고싶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지고 중량감이 강조되면서 새 인물찾기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