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의 공기업 지배구조에 대한 개혁 향방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3월14일로 예정된 포스코 주총에서의 유상부 회장의 연임 여부가 주목을 끌고 있다.
유 회장의 거취가 관심을 끄는 것은 단순히 포스코라는 개별 기업 차원을 넘어 전체 공기업 지배구조 개혁으로 이어질지에 대한 정부의 의중을 헤아릴 수 있는 신호탄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포스코는 비록 민영화되기는 했으나 여전히 정부의 입김이 미치는 기관 투자가들이 대주주로 남아 있는 데다 일찌감치 정부의 의중을 헤아린 일부 기관투자가들이 유회장이 재판에 계류 중인 점 등을 들어 연임 반대의사를 표명하고 나서는 등 논란에 불을 댕기고 있다.
반면 포스코측은 유회장 재임 이후 경영상태가 양호했던 데다 외국인 지분이 절대 과반수를 넘어서고 있다는 점에서 '민영기업'의 경영은 주주들에게 맡겨야 한다는 입장이다.
◇주주 현황=지난 2000년 말 민영화된 포스코는 주주가 확정된 지난해 말 기준 해외주주가 61.5%를 보유, 정기 주주총회에서 유회장 재선임을 비롯한 안건 처리에 결정적 변수가 될 수밖에 없다.
현재 기업은행 2.6%를 포함해 정부쪽 지분이 5~6%로 포항공대 등 특수관계인 지분 3.59%보다 많아 정부가 아직 국내 대주주인 셈이다.
지난해 정기총회에서 해외주주들은 전체 발행수의 약 40%에 해당하는 의결권을 행사했고 올해도 비슷한 수준이 될 것이라고 포스코 측은 전망하고 있다.
◇국내 기관투자가=김종창 기업은행장은 19일 "유회장이 형사상 소추된 상태여서 추후 재판 결과에 따라 경영권에 중대한 영향이 미칠 수 있다"며 "이는 지배구조의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만큼 주주 입장에서 연임에 찬성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밝혀 논란에 불을 지폈다.
국내 최대주주인 김행장의 이같은 발언에 미뤄볼 때 한국투신 대한투신 등도 다음달 14일 열릴 정기 주주총회에서 유회장의 연임안에 반기를 들 가능성이 크다.
◇포스코의 입장=포스코는 일부 기관투자가들의 회장 연임 거부 움직임에 대해 "CEO는 경영성과로 평가받아야 한다"며 "지난 2년간의 성과를 감안하면 연임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전체의결권의 61%를 차지하고 있는 해외주주들이 그간의 경영성과를 높이 평가하고 유회장에 대해 '강한 신뢰'를 보내고 있다는 것. 또 정부가 이미 민영화된 공기업의 지배구조에 대해 개입하는 것은 민영화 근본 취지를 훼손하는 데다 정부의 과도한 개입으로 대외신인도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포스코 주총, 공기업 지배구조 신호탄인가=기업은행을 비롯한 일부 기관투자가들의 유 회장 연임 반대 검토는 전체 공기업 지배구조 개혁으로 이어질 것이란 분석이 많다.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가 지난달 공기업 지배구조를 개혁하겠다는 입장을 강력히 천명하면서 포스코 회장직 교체 문제는 이미 예고돼 있었다는 것. 노 당선자는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경제분과 위원들과의 간담회에서 포스코와 KT 등을 직접 거명하며 민영화된 공기업의 지배구조 문제를 강하게 비판한 바 있다.
인수위원회는 이에따라 민영화 과정에서 공기업의 지배구조를 적정하게 유도하기 위해 △사외이사의 공정한 선임과 권한 강화 △기관투자가들의 역할제고 등을 골자로 하는 제도적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