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유회장 거취 공기업 개혁 '잣대'

새 정부의 공기업 지배구조에 대한 개혁 향방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3월14일로 예정된 포스코 주총에서의 유상부 회장의 연임 여부가 주목을 끌고 있다.

유 회장의 거취가 관심을 끄는 것은 단순히 포스코라는 개별 기업 차원을 넘어 전체 공기업 지배구조 개혁으로 이어질지에 대한 정부의 의중을 헤아릴 수 있는 신호탄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포스코는 비록 민영화되기는 했으나 여전히 정부의 입김이 미치는 기관 투자가들이 대주주로 남아 있는 데다 일찌감치 정부의 의중을 헤아린 일부 기관투자가들이 유회장이 재판에 계류 중인 점 등을 들어 연임 반대의사를 표명하고 나서는 등 논란에 불을 댕기고 있다.

반면 포스코측은 유회장 재임 이후 경영상태가 양호했던 데다 외국인 지분이 절대 과반수를 넘어서고 있다는 점에서 '민영기업'의 경영은 주주들에게 맡겨야 한다는 입장이다.

◇주주 현황=지난 2000년 말 민영화된 포스코는 주주가 확정된 지난해 말 기준 해외주주가 61.5%를 보유, 정기 주주총회에서 유회장 재선임을 비롯한 안건 처리에 결정적 변수가 될 수밖에 없다.

현재 기업은행 2.6%를 포함해 정부쪽 지분이 5~6%로 포항공대 등 특수관계인 지분 3.59%보다 많아 정부가 아직 국내 대주주인 셈이다.

지난해 정기총회에서 해외주주들은 전체 발행수의 약 40%에 해당하는 의결권을 행사했고 올해도 비슷한 수준이 될 것이라고 포스코 측은 전망하고 있다.

◇국내 기관투자가=김종창 기업은행장은 19일 "유회장이 형사상 소추된 상태여서 추후 재판 결과에 따라 경영권에 중대한 영향이 미칠 수 있다"며 "이는 지배구조의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만큼 주주 입장에서 연임에 찬성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밝혀 논란에 불을 지폈다.

국내 최대주주인 김행장의 이같은 발언에 미뤄볼 때 한국투신 대한투신 등도 다음달 14일 열릴 정기 주주총회에서 유회장의 연임안에 반기를 들 가능성이 크다.

◇포스코의 입장=포스코는 일부 기관투자가들의 회장 연임 거부 움직임에 대해 "CEO는 경영성과로 평가받아야 한다"며 "지난 2년간의 성과를 감안하면 연임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전체의결권의 61%를 차지하고 있는 해외주주들이 그간의 경영성과를 높이 평가하고 유회장에 대해 '강한 신뢰'를 보내고 있다는 것. 또 정부가 이미 민영화된 공기업의 지배구조에 대해 개입하는 것은 민영화 근본 취지를 훼손하는 데다 정부의 과도한 개입으로 대외신인도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포스코 주총, 공기업 지배구조 신호탄인가=기업은행을 비롯한 일부 기관투자가들의 유 회장 연임 반대 검토는 전체 공기업 지배구조 개혁으로 이어질 것이란 분석이 많다.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가 지난달 공기업 지배구조를 개혁하겠다는 입장을 강력히 천명하면서 포스코 회장직 교체 문제는 이미 예고돼 있었다는 것. 노 당선자는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경제분과 위원들과의 간담회에서 포스코와 KT 등을 직접 거명하며 민영화된 공기업의 지배구조 문제를 강하게 비판한 바 있다.

인수위원회는 이에따라 민영화 과정에서 공기업의 지배구조를 적정하게 유도하기 위해 △사외이사의 공정한 선임과 권한 강화 △기관투자가들의 역할제고 등을 골자로 하는 제도적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