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선거홍보 무차별적 문자메시지 '왕짜증'

후보별 발송 5회 제한 불구 무차별 세례 유권자 피해

6·2지방선거를 앞두고 각종 선거 후보들이 유권자들에게 무차별적으로 문자메시지를 보내 짜증을 유발시키고 있다. 김태형기자 thkim@msnet.co.kr
6·2지방선거를 앞두고 각종 선거 후보들이 유권자들에게 무차별적으로 문자메시지를 보내 짜증을 유발시키고 있다. 김태형기자 thkim@msnet.co.kr

직장인 이은철(37·대구 북구 태전동)씨는 얼마전부터 휴대전화기 문자메시지 알림음을 무음으로 해 놓고 다닌다. 이씨는 시도 때도 없이 울어대는 문자메시지 도착음 탓에 신경이 날카로워지기까지 했다.

이씨는 "광고성 스팸 문자뿐만 아니라 선거 홍보 문자까지 날아들어 문자를 지우는 게 일과가 돼 버렸다"며 "하루 30통 이상 문자가 오는 바람에 짜증이 난다"고 불평했다.

고삐 풀린 선거문자가 스팸폭탄으로 변질되고 있다. 6·2지방선거가 40여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선거전이 치열해지는데다 광역단체장과 교육감, 기초단체장 등을 포함해 각종 선거가 겹쳐 선거 문자가 홍수를 이루고 있는 것.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공직 선거법 개정으로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선거 유세가 가능해졌다. 정치 신인들이 자신을 적극 알릴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다. 그러나 휴대전화 선거 홍보에 대한 특별한 규제가 없어 유권자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

자동전송 시스템을 활용한 선거 문자의 경우 발송횟수를 총 5회로 제한하고는 있지만 문자메시지를 후보자가 직접 보냈는지, 아니면 자동전송 시스템을 이용했는지 확인할 길이 없는 까닭에 유권자들이 무차별적 문자 세례에 시달리고 있는 것이다.

시 선관위는 "후보자가 직접 휴대전화를 이용해 한번에 20건 이하의 선거 문자는 얼마든지 보낼 수 있다"며 "내부 고발이나 제보가 아니면 대량 문자 발송 시스템을 초과 사용했는지에 대한 여부를 가릴 수 없다"고 말했다. 시 선관위에는 하루에도 수차례 스팸성 문자 메시지 발송에 대해 항의하는 전화가 쇄도하고 있다.

휴대전화 번호 입수 경로에 대해서도 논란이 일고 있다. 한 선거 캠프 측은 "아파트 단지 관리사무소나 부동산 중개업소 등에 휴대전화 번호 문의를 하고 협조를 구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개인정보 거래업체를 통해 대량으로 구매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고 귀띔했다.

실제 서울의 한 문자메시지 발송 업체에 문의하자 "5천건 이상을 예약하면 지역과 성별에 맞춰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업체를 소개해 주겠다"며 "지방에서도 문의가 많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찰은 "현행법상 아파트 부녀회 등은 영리를 취하는 곳이 아니기 때문에 설사 돈을 받고 입주민들의 개인정보를 유출했더라도 처벌이 어렵고 정보 업체를 통한 거래도 암암리에 이뤄지는 만큼 적발하기가 힘들다"고 말했다. 임상준기자 news@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