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구제역 차단, 정부 차원 대책 마련하라

안동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확산 일로다. 안동에 이어 예천으로 구제역이 번졌고, 대구와 청도에서도 구제역 의심 증상이 신고됐다. 안동 구제역이 발생 1주일 만에 30건으로 늘어나며 숙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보다 강력한 정부 차원의 보상과 예방 대책이 마련돼야 하겠다.

구제역은 1934년 처음 발생한 이후 66년 만인 지난 2000년 3월 경기 파주에서 발병했다. 이어 2002년 경기도 일대와 충북 진천에서 발병했고 올해 1월 경기 포천'연천, 4월 인천 강화와 경기 김포, 충남'북 등지, 11월 경북 안동'예천 등 지금까지 모두 6차례 구제역이 발생했다. 6차례 중 올해만 3차례나 발병할 정도로 구제역이 빈발한 것이 걱정된다.

이번 안동 구제역은 신고 건수나 전파 속도가 올 1월 발생한 경기 포천과 4월 인천 강화 등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빠르다는 점이 특징이다. 포천에선 6건 확진에 27일이 걸렸고 인천 강화 등의 경우 11건 발생에 1개월이 소요됐다. 반면 안동 구제역은 11월 28일 첫 신고 이후 일주일 사이 의심 신고 39건에 확진만 30건이나 된다. 엄벙덤벙 대책으로 초동 대처에 실패한데다 인력과 장비 부족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게다가 정부 대처도 수도권의 구제역과 달리 이번엔 지나칠 정도로 차분하다.

경북 지역은 국내 최대의 한우 사육 지역(전국 250만 마리 중 63만 마리)인데다 돼지 사육도 전국 3위(900여만 마리 중 143만 마리)다. 구제역 확산을 조기 차단하지 못할 경우 경북은 물론 전국의 한우와 돼지 사육 기반 자체가 흔들릴 수도 있다. 따라서 살처분과 방제, 보상 등에 정부 차원의 긴급 지원이 필요하다. 소는 잃었더라도 외양간은 고쳐야 하지 않겠는가.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