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방대 강소대학으로 변해야 산다

2018년 학생 5천명 모자라 , 특성화 통해 경쟁력 키워야

지방대학이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 신입생 수 급감, 과도한 취업률 경쟁 등으로 존폐를 걱정해야 할 처지에 내몰리면서 작지만, 경쟁력 강한 대학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대학 학령인구는 지난해 69만 명에서 2030년이 되면 41만 명으로 급감하게 된다. 이 때문에 올해 대입정원 57만 명 기준으로 2018년 약 5천 명, 2020년 3만 명, 2022년 13만 명, 2030년은 18만 명이 부족할 것으로 추측된다. 전문대를 포함해 전국 대학의 20~30%가 문을 닫아야 할 상황.

특히 지방 중에서도 대구경북권과 호남권이 가장 피해를 볼 것이란 전망이다. 상대적으로 학령인구가 많은 수도권 신입생들이 지방대학에 입학한다고 해도 거리가 먼 대구경북권과 호남권으로 갈 가능성은 크지 않기 때문이다.

지역 사립대학들은 이런 사실을 인식하면서도 등록금 의존율(평균 69%)이 높은 탓에 입학 정원을 줄이는 데 인색한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대학 규모를 적정한 선으로 줄이는 대신 각 대학이 경쟁력을 가진 부분을 특성화시키고, 25세 이상 성인 학습자의 대학 정규과정 참여와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회적 대타협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교육부와 각 대학의 이해 당사자들이 균등한 정원 감축 등 서로 '윈-윈'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대구가톨릭대 장우영 교수(정치외교학)는 "고통분담 차원에서 각 대학의 균등한 정원 감소 추진 등 이해당사자 간 협력체제 가동을 통한 사회적 대타협이 필요하다"며 "그렇지 않으면 수도권 일극 체제가 더욱 가속화돼 지방대학은 더 이상 살기 어려운 변방으로 남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취업률의 압박을 벗어나 대학 본연의 기능을 회복해야 한다는 지적도 끊이지 않고 있다. 교육부는 교육역량강화사업과 산학협력선도대학(LINC:Leaders in INdustry-university(college) Cooperation) 사업 등 재정지원 사업에 취업률을 매우 중시하고 있다.

이 때문에 대학 당국은 재정지원을 받기 위해 교수들을 닦달하고, 교수는 학문보다는 제자들의 취업에 신경을 쓸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조만간 교육부가 발표할 지방대학육성 방안에 '특성화를 통해 경쟁력을 키우는 방향'의 다양한 정책이 포함될 것"이라며 "대학 평가기준 중에 특히 취업률에 대한 문제 제기가 많은데 지금까지 양적인 취업률을 중시했다면 점차 질적인 부분까지 취업률 평가에 포함시켜 대학들이 수용할 수 있는 개선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했다.

기획취재팀=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황수영기자 swimming@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