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17일 영덕군청에서는 경상북도가 주최하고 에너지경제연구원이 주관한 2013원자력클러스터포럼 지역개발분과 영덕 워크숍이 열렸다.
원자력클러스터포럼 지역개발 분과위원과 영덕군 국책사업협력 담당자 등 15명이 참석한 이날 워크숍은 주민들의 압도적인 유치 지지로 지정고시된 천지원전이 건설될 경우 영덕에 돌아오는 막대한 원전 지원금으로 지역을 어떻게 개발, 발전시킬 것인지를 논의하는 자리였다.
하지만, 1시간 20분여의 토론과정에서 지역개발 분과위원에 위촉된 전문가들의 발언과 자세는 워크숍이라는 이름을 무색게 했다.
발제자는 원전과 아무 상관없는 독일 뒤스부르크의 도시 리모델링을 지역개발 성공사례로 발표했다. 관 주도가 아닌 주민의 주체적인 참여를 강조하는 원칙론만 되풀이했다.
원자력문화재단'원자력협회'원자력연구원 관계자들도 원전에 대한 국민여론조사 결과를 홍보하거나, 원전의 인구 증대 효과 수치'직원들과 주민들의 화합 등을 강조하는데 그쳐 영덕 실정에 맞는 발전전략 자문을 기대한 지역민과 공무원들을 실망케 했다.
일부 위원들은 워크숍 도중 자리를 비우거나 스마트폰을 만지작거리는 등 기본적인 토론 자세도 제대로 지키지 않았다.
고령화 지역임을 감안할 때 지역 주민들이 주체적이고 영속 가능한 사업을 구상하고 참여하기란 쉬운 과제가 아닌데도, 자문위원들은 이러한 어려운 실정에 대해서는 인식도 제대로 하지 않고 있는 듯 보였다.
그나마 경주의 이기복 경실련 원전정책실장이 현 실정에 대한 구체적 사례를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이 실장은 "경주도 주민들이 해수탕을 운영한 것이 성공사례로 회자하고 있지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실패다. 시작 2년 동안 좋은 경영성과를 거뒀지만 다른 민간 업자들이 비슷한 업체를 만들기 시작하며 초기 성과를 아직도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게 사실이다. 주민사업의 함정이다"고 말했다.
이날 "영덕이란 곳을 오늘에서야 알았다"며 웃는 한 참석자의 발언은 이날 워크숍이 어떠했는지 극명하게 보여준 대목이었다.
영덕'김대호기자 dhki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안 "탈당해야" 김·홍 "도리아냐"…국힘 잠룡들 尹心 경계 짙어질까
전한길 "사전투표 규칙 개정해야…제2의 홍콩·베네수엘라로 몰락할 수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7共" "체제전쟁" 국힘 경선 후보들 '反이재명' 한목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