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정원 국조, 14·19·21일 세차례 청문회

국가정보원 댓글 의혹사건 등의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특위는 15일까지로 잡혔던 국조 일정을 23일까지 8일간 연장하고, 애초 두 차례였던 증인 신문도 세 차례로 늘리기로 전격 합의했다.

팽팽한 여야 대립으로 난파 중이던 국정원 댓글 의혹사건 국정조사가 이날 여야의 합의로 정상궤도로 순항할지 관심이 모인다.

국조특위 여야 간사인 새누리당 권성동, 민주당 정청래 의원은 6일 오후 국회 기자회견을 통해 양당 원내수석부대표와 특위 간사 간 '2+2 회동'을 통해 합의한 이 같은 내용의 결과를 발표했다.

두 의원에 따르면 기존 7, 8일 이틀 동안 실시하기로 했던 청문회를 14, 19, 21일 사흘에 나눠 실시하고, 23일 국정조사 결과보고서를 채택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이다. 그러나 핵심 쟁점인 증인과 참고인에 대해서는 합의에 이르지 못해 7일 오후 2시에 열리는 특위 전체회의에서 증인'참고인과 청문회 일정을 의결해 확정하기로 했다.

이처럼 청문회 횟수를 늘리고 기한을 연장함에 따라 민주당이 요구해온 원세훈 전 국정원장,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의 청문회 출석은 확정된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불출석 시 동행명령장을 발부해 강제 출석시키겠다는 것을 여야가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

특위 새누리당 간사인 권성동 의원은 이날 "원세훈 전 원장과 김용판 전 청장의 증인 채택 문제는 사실상 결정된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민주당이 줄기차게 요구해온 김무성 의원과 권영세 주중대사의 증인 채택에 대해선 서로 양보 없이 팽팽한 기싸움을 벌이고 있다. 이에 대해 특위 민주당 간사인 정청래 의원은 "7일 오후 특위 전체회의에서 증인 합의문에 양당의 주장과 함께 계속 협상한다는 정도로 담아서 발표할 예정"이라고 했다. 현재 원세훈'김용판 두 사람 외의 증인'참고인은 18명 정도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여야는 7일까지 김무성 의원과 권영세 대사에 대한 증인 채택에 합의하지 못하더라도 이날 합의한 국조 일정은 그대로 진행하기로 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