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내년부터 산하 18개 출자'출연 기관 직원 채용 때 필기시험을 치르게 할 방침이어서 논란이 되고 있다. 정규직 5명 이상 채용 시 필기시험을 의무화하도록 채용 규칙을 바꿔 최근 18개 산하 기관에 통보했다. 다양한 면접 기법을 통해 실무 능력을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필요한 인력을 뽑는 게 추세인데도 대구시가 손쉬운 필기시험으로 되돌아가는 것은 구태의연한 발상이다.
시는 이번 조치가 채용의 공정성'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책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서류 전형과 면접 위주로 뽑다 보니 청탁 등 채용을 둘러싼 잡음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서류 및 필기 전형은 소위 '스펙'과 단순한 전공 지식만을 평가할 수밖에 없어 효용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은 지 오래다.
서울시 산하 기관의 경우 올해부터 출신 학교'가족 관계는 물론 학점'어학 능력 점수 등을 모두 배제하고 직무 관련 직업교육과 활동을 기재하는 표준 이력서를 사용하는 등 큰 변화를 주고 있다. 295개 정부 공공기관도 내년 상반기부터 서류 전형과 필기시험을 직무 능력 평가로 대체하는 등 시스템을 바꿀 계획이다. 이처럼 실무 능력만을 보는 채용이 보편화되고 있는데도 대구시가 과거의 필기시험 방식으로 선회하는 것은 다분히 행정 편의적 발상이다.
필기시험 결과에 따라 석차를 매기면 채용 과정에서 청탁이나 이의 제기 등 군소리는 나오지 않겠지만 해당 기관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뽑는 데 한계를 드러낼 수밖에 없다. 오디션과 프레젠테이션, 집단 토론 등 다면적 직무 능력 평가 기법이 강조되고 있는 것도 과거 필기 전형에 따른 시행착오의 결과다. 보다 합리적인 채용 방식에 대한 고민은 않고 잡음이 무섭다고 줄 세워 뽑는 방식에 매달린다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필기시험 방침은 재고되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