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스코, 동남아 첫 일관제철소 印尼서 준공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 대통령(사진 오른쪽)과 정준양 포스코 회장이 크라카타우포스코에서 생산한 후판 제품 위에 기념 휘호를 적은 뒤 손을 맞잡았다. /포스코 제공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 대통령(사진 오른쪽)과 정준양 포스코 회장이 크라카타우포스코에서 생산한 후판 제품 위에 기념 휘호를 적은 뒤 손을 맞잡았다. /포스코 제공

포스코는 23일 인도네시아 찔레곤에서 연산 300만t 규모의 용광로에 첫 불을 당기며 동남아시아 최초의 일관제철소 가동을 신고했다. 포항 영일만에서 쇳물을 뽑은 지 40년 만에 첫 수출길에 오른 용광로는 인도네시아 제철산업을 이끌 원동력이 될 전망이다.

이날 크라카타우포스코 화입식에는 정준양 포스코 회장과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 인도네시아 대통령, 하타 라자사 인도네시아 경제조정부 장관, 김재홍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김영선 주인도네시아 대사 등 관계자 500여 명이 참석했다.

정 회장은 "지난 30개월간의 일관제철소 건설은 쉽지 않은 여정이었지만 한국의 기술과 인도네시아의 우수한 인적자원이 힘을 합쳐 성공할 수 있었다"며"포스코가 제철보국 이념으로 국가 경제 발전의 밑거름이 됐듯 크라카타우포스코도 인도네시아에서 포스코와 같은 역할을 수행해 줄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크라카타우포스코는 포스코와 인도네시아 국영철강사 크라카타우스틸이 7대3의 비율로 합작했으며 제선'제강'후판공정을 갖추고 있다. 연간 생산량은 슬라브 180만t과 후판 120만 톤(t)이다.

크라카타우포스코는 원가절감 활동을 기반으로 내수시장 점유율을 높이는 동시에 동남아시아에서 중동으로 이어지는 판매망 구축으로 흑자 달성을 꾀하고 있다. 슬라브 150만t과 후판 60만t이 이미 내수시장에서 소화될 것으로 보여, 2014년 영업이익 흑자 달성은 무난할 것으로 포스코는 기대하고 있다.

포스코는 인도네시아의 성장잠재력을 고려한다면 시장전망은 더욱 밝다고 자신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연평균 6% 이상 고성장을 지속하고 있는데다 2억5천만 명 인구를 가진 경제발전 잠재력이 높은 도시다. 특히 철강수요 1천250만t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1인당 철강소비량(40kg)도 한국의 5%밖에 되지 않아 철강소비 수요가 매우 높게 형성돼 있다. 여기에다 인도네시아 주변의 베트남, 말레이시아, 미얀마 등 주변 시장에서의 철강수요 역시 대단히 높은 수준이다.

포스코는 이번 제철소 진출을 계기로 중국과 베트남'인도네시아'인도를 잇는 철강벨트를 완성할 구상이다. 이를 위해 일관제철소 생산 및 설비운영의 노하우를 가진 국내 기술진을 현지에 파견해 포항과 광양제철소 수준의 고품질 제품을 생산할 시스템을 구축했다.

한형철 포스코 포항제철소 행정섭외그룹장은 "인도네시아 일관제철소는 포스코와 포스코계열사, 국내외 248개 중소기업의 기술이 총망라돼 있는 곳"이라며"40여 년 전 포항제철소를 건설할 당시 외국기술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던 포스코가 이제는 당당히 해외로 제철소를 수출할 수 있는 강하고 튼튼한 기업으로 성장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포항·박승혁기자psh@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