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들 금주령을 내리다/정구선 지음/ 팬덤북스 펴냄
조선은 술 권하는 사회였다. 주식동원(酒食同源), 주약동원(酒藥同源). 술은 약이자 음식이었다. 술에는 오곡의 정기가 들어 있어 몸이 허약해지면 기운을 북돋는 약이었고, 약을 먹을 때 반드시 같이 마시는 음식이었다. 그래서 신하들은 왕이 매일 술을 마시지 않으면 몸이 상할까 염려해 술을 드시라고 강권했다.
왕도 마찬가지였다. 대궐에서 아침 조회를 마치면 왕은 신하들에게 수고했다며 술을 내렸다. 반대로 잘못을 하면 벌주를 내리기도 했다. 왕은 신하들은 물론 백성과 죄수들에게도 술을 내렸다. 이는 왕의 중요한 통치행위 중 하나였다. 술은 정치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었다.
조선의 왕들 중 대표적인 애주가는 누구였을까. 태종, 세조, 영조가 꼽힌다. 모두 즉위 전이나 재위 중 난이나 당쟁 등으로 어려움을 겪은 왕들이다. 왕의 주량은 당대 정국 동향과 밀접한 관계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술을 가장 싫어했던 왕으로는 세종이 꼽힌다. 본래 주량이 약했다. 또 위에서는 부왕 태종이, 아래에서는 신하들이 술을 강권하는 바람에 거절하느라 애를 먹었다.
두주불사(斗酒不辭)의 신하들도 있었다. 요즘 정치인과 고위공무원들이 음주운전, 낮술, 룸살롱 접대 등으로 곤욕을 치르는 것처럼 술 마시고 각종 사고를 쳤다. 정인지는 술을 마시고 무려 네 번이나 세조에게 무례를 범했다. 심지어 세조에게 '너'라고 반말까지 했다. 하지만 세조는 매번 봐줬다. 정인지가 자신의 즉위에 결정적인 공을 세운 신하인데다 나이도 많아서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 밖에도 연산군 때 내시 박인손은 대궐 밖으로 왕의 심부름을 나갔다가 술에 취해 심부름을 깜빡해 결국 곤장 60대를 맞았다. 당시에도 음주운전은 수명을 단축하는 지름길이었다. 태조 때 재상 홍영통은 태조의 생일잔치에서 만취돼 집으로 돌아가다 말에서 떨어져 죽었다.
백성들 사이에는 주폭이 있었다. 태조 때 최선'최굉 형제는 할머니 상중에 풍악을 울리며 술을 마시고, 남의 집에 가 행패를 부렸다.
이렇다 보니 나라에서는 수시로 금주령을 내려 술 마시는 자와 술 빚는 자를 단속했다. 하지만 처벌받는 자는 대부분 힘없는 백성들이었다. 단속을 맡은 하급 관리들이 고위 관료나 권세가는 차마 건드리지 못했기 때문이다.
법령이 제대로 효과를 못 내자 대신 일종의 캠페인이 펼쳐지기도 했다. 왕들은 계주교서를 내려 술의 폐해를 지적하고, 지나친 음주를 경계했다. 그때나 지금이나 음주 문제는 참 풀기 어려운 사회적 숙제다.
저자는 동국대학교 연구교수를 역임한 정구선 씨다. 앞서 '조선은 뇌물 천하였다' '중세 시대의 환관과 궁녀' '조선의 출셋길 장원급제' 등 우리나라 중세 및 근세사의 속내를 다룬 책들을 주로 펴냈다. 1만3천원, 212쪽.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