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에 대한 지역 홀대가 너무 심한 것 아닙니까?"
최근 구미경찰서의 구미 신평동 옛 금오공대 캠퍼스 부지로의 이전 논란, 구미시 축산분뇨자원화 시설의 입지 선정 등을 놓고 금오공대가 지역으로부터 이기주의, 지역발전을 도외시하는 대학이란 뭇매를 맞으면서 대학 구성원들의 볼멘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공학 특성화 대학으로서의 지역 기여도를 몰라도 너무 몰라준다는 하소연이다.
경찰서 이전 문제, 축산분뇨자원화 시설의 입지 선정 등은 워낙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얽혀 지역 국회의원, 시장 등 선출직 지도자들도 명확한 중재를 못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구미경실련은 13일 금오공대와 지역 간의 갈등 해소 방안을 구미시장 예비후보 선거 공약으로 제안했다.
경실련은 성명서를 통해 경찰서 이전 부지 논란에 대해선 시유지 교환 추진으로 전체 시민의 이익을 위하는 쪽으로, 축산분뇨자원화 시설의 금오공대 인근 입지 선정은 민원인의 의견수렴을 배제하는 등 구미시의 잘못된 행정에 대한 금오공대의 이의 제기를 존중하는 것이 가장 우선이라고 밝혔다.
경실련은 이 같은 제안에 대해 구미시장 예비후보는 유권자들에게 분명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주장하는 한편 금오공대 망신주기를 그만하자는 내용도 덧붙였다.
1980년 개교한 금오공대의 졸업생 수는 2만 5천여 명. 동문들 상당수는 지역 산업 현장에서 기술중추 인력으로서, R&D 등에서 두드러진 활동을 하고 있다.
매년 졸업생 200여 명이 구미국가산업단지 내 기업체에 취업, 전문 분야에서 일하고 있다. 또 기업체 CEO로 활동하는 졸업생도 10여 명에 달한다.
금오공대 졸업생들의 지난해 유지 취업률은 96%로 대구경북 1위다. 게다가 올해 전자공학부, 컴퓨터 관련 학과 등의 신입생 입학 성적은 경북대, 영남대 등의 일부 학과와 어깨를 나란히 했다.
특히 금오공대의 등록금은 2009년부터 6년간 동결돼 올해 학생 1인당 연간 377만원으로, 전국 국립대 평균 등록금 437만원보다도 훨씬 적다.
국립대를 유치하지 못해 안달인 타 시·도 지역이 많은 상황 속에, 이 같은 기여도가 있는 금오공대를 지역에선 왜 몰라 주느냐는 게 대학 구성원들의 하소연이다.
지역사회 발전과 궤를 함께 하는 것이 대학의 몫이라면 제대로 된 교육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은 지자체와 주민들의 몫이다. 뭇매보단 역지사지의 미덕도 필요하지 않을까.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