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정하동 우체국 뒤편에 자리한 육개장 전문식당인 '정하식당'. 황임순(62)'황귀하(50) 씨 자매가 운영하는 이 식당은 인근 주민들에게 '착한 식당'으로 소문이 자자하다.
가장 착한 건 가격이다. 육개장 1인분에 3천원이다. 재료도 착하다. 국내산 소고기와 채소만 사용한다. 짜장면보다 싼 값에 육개장 한 그릇을 먹을 수 있고, 재료까지 믿을만하다는 소문이 나면서 착한 식당이 됐다.
최근까지만 해도 이곳의 육개장 가격도 다른 가게와 다름없는 5천원이었다. 하지만 한 손님이 가격표를 바꿔버렸다. 지난해 말 인근 원룸 공사장에서 학비를 벌기 위해 일하던 한 청년이 매일 점심을 이 식당에서 육개장으로 해결했다. 이 청년이 아들처럼 느껴졌던 주인 황 씨는 그때부터 육개장을 3천원에 팔기 시작했다. 하루 5천원인 점심값에서 2천원이라도 더 모아 학비에 보태라는 것이었다. 덩달아 다른 현장 근로자들과 주민들도 3천원에 육개장을 즐길 수 있게 됐다.
올해 초 공사가 마무리되고 마지막으로 이 식당을 찾은 이 청년은 이들 자매에게 캔커피 2개를 감사 선물로 건넸다. "광주에서 이곳까지 일하러 와 매일 밥값 2천원을 모을 수 있었다. 마지막 날 아낀 밥값 2천원은 꼭 아주머니들께 음료수를 선물로 드리고 싶었다"는 감사 인사와 함께였다.
육개장 가격이 내린 뒤로 의심하는 손님들도 많았다. "수입 소고기냐", "조미료를 쓰는 것 아니냐?"는 질문이 쏟아졌다. 주인 자매는 이런 손님이 오면 주방으로 안내해 큰 솥에 담긴 육개장을 보여준다. 그러면 모두 고개를 끄덕인다고.
육개장 한 그릇을 팔면 몇 백원밖에 남지 않는다. 두 자매는 비용을 줄이기 위해 매일 새벽 안동 전통시장 등을 돌며 식재료를 저렴하게 사고, 도축장에서 싸게 고기를 공급받는 식육점을 수소문했다.
이 식당은 유독 혼자 식사를 하는 이들이 많은 점도 특징이다. 고등학생과 우편 배달부, 할아버지 등 일과 시간에 쫓겨 늦은 끼니를 해결하는 사람들이 손님의 절반이나 된다. 주인 황 씨는 "일이 바빠 식사때를 놓치는 사람들이 많다. 그들이 싼값에 부담없이 먹을 수 있는 데가 우리 식당이라 많이들 오는 것 같다"고 했다.
주인 황 씨는 얼마 전 딸의 모교에 선행을 베풀기도 했다. 하루에 1천~2천원씩 수개월간 100만원을 모아 딸의 이름으로 기부를 한 것. 또한 인근 경로당에 있는 노인들에게 육개장과 반찬을 대접하는 등 작지만 뜻있는 일을 이어가고 있었다.
황 씨 자매는 "벌이가 시원찮아 밥값 부담이 적지 않은 사람들이 많다. 우리 식당 주인들이 조금만 더 부지런해지면 원가를 줄여 가격을 낮출 수 있다. 모두 함께 살아간다는 생각으로 사니까 요즘 더 즐겁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