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가스(LNG) 발전소 건립을 둘러싼 지자체 간의 경쟁이 과열 양상을 빚고 있다. 세수 확대와 일자리 창출을 기대한 지자체들이 시설 규모와 추진 일정이 엇비슷한 발전소 건설 계획을 앞다퉈 내놓고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일부 주민들이 발전소 유치활동을 벌이는 데 반해 농작물 피해와 안전사고 등을 이유로 건립에 반대하는 주민들의 목소리도 높아 추진 과정에서 주민들 간 갈등도 우려된다.
최근 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대구 달성군과 경북 고령군이 잇따라 천연가스 발전소 건립 계획을 내놨다.
달성군은 이달 21일 대우건설㈜'FUP코리아㈜'㈜덕평에너지와 천연가스 발전소 건립에 따른 업무협약을 맺고 논공읍 일대 25만㎡ 부지에 발전용량 1천800㎿급의 천연가스 발전소 건립을 추진키로 했다. 올 연말까지 주민공청회 등 인허가 절차를 거쳐 내년 하반기에 착공한 뒤 2019년부터 본격적인 상업운전을 시작할 계획이다. 발전소는 향후 30년간 운영된다. 이와 함께 논공읍 일대 마을 이장들을 중심으로 '달성군 천연가스 발전소 유치추진위원회'(위원장 송성열)가 구성돼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앞서 지난해 10월 고령군은 대림산업㈜과 업무 협약을 맺고 성산면 오곡리 일대 23만㎡ 부지에 1조5천억원을 들여 1천880㎿ 규모의 천연가스 발전소를 건립하기로 했다.
민간자본이 투입되고 시설 규모와 발전 용량, 사업 추진이 유사한 발전소가 바로 맞닿은 두 지자체에서 동시에 추진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지자체들이 천연가스 발전소 건립 경쟁을 벌이는 이유는 지방재정 확대와 일자리 창출 효과에 대한 기대감 때문. 달성군은 발전소가 들어오면 연간 세입 100억원이 확대되고, 유치 지역에는 지원사업비 등으로 20억원이 지원될 것으로 보고 있다. 고령군도 연간 지방세수 50억원을 확보할 수 있고, 주민지원사업비 등 30년간 2천억원의 경제효과를 예상했다.
그러나 인접한 지자체에서 발전소를 건립할 경우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또 전국적으로 추진 중인 천연가스 발전소 건립 사업이 주민들 간의 갈등으로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경남 통영시의 경우 지난해 2월 현대산업개발이 광도면 안정리 일대에 920㎿급의 발전시설을 설치키로 하고 사업승인까지 받았지만 각종 잡음을 일으키며 지지부진한 상태다. 충북 음성군에서도 한국동서발전㈜이 1천800㎿ 규모의 LNG 발전소 건설에 나섰지만 건립에 찬성하는 음성읍 주민들과 사업예정지인 용산리와 한벌리 주민들의 반대가 부닥치며 갈등이 일고 있다.
달성군도 논공읍 주민들은 찬성 입장이지만 사업예정지 주민들은 화재나 폭발 등 안전사고 등을 우려해 반대 목소리가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에너지 생산업계 한 관계자는 "천연가스 발전소 건립은 전력난 해소와 지방재정 확충, 고용창출 등의 효과가 있지만 발전소 유치에 따른 업체, 지자체, 주민 등 서로 간 과잉 경쟁으로 사업이 실패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