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새누리당, 과연 국민에게 공천권 돌려줬나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 드리겠다고 한 새누리당의 약속은 거짓말이었나. 새누리당이 박근혜 대통령의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 공약을 폐기하고 대안으로 내놓은 상향식 공천이 결국은 상향식이라는 허울을 쓴 '하향식'이라고 의심할 증거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 군수 및 도의원 후보 경선에 지역구 강석호 국회의원이 부당 개입했다고 주장하는 '반 강석호 연대'(이하 연대)가 영덕 군민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지난 26일 영해면에서 열린 무소속 장성욱 후보 필승 결의대회에 3천여 명(주최 측 추산)이 몰렸다고 한다. 영덕의 유권자가 3만 5천 명 정도임을 감안하면 '성황'이라는 표현이 과장되지 않을 만큼 많은 인파다. 이에 앞서 22일에 있었던 장 후보 출정식에도 1천500명 가까운 사람이 몰렸다고 한다.

이런 현상이 단순한 관심의 표현인지 아니면 지지세의 확산인지 아직 판단하기에는 이르다. 그러나 '강 의원 경선 부당 개입'이란 연대의 주장을 영덕 군민들이 '아니 땐 굴뚝에서 나는 연기'로 여기지는 않고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이에 대해 강 의원은 '오해'와 '억측'이라고 하지만 영덕 군민들의 의구심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무공천 지역으로 결정된 청송에서도 비슷한 일이 있었다. 김재원 의원은 특정 후보의 선거사무실 개소식에 참석해 모인 사람들에게 그 후보를 뽑아달라고 부탁했다가 선관위의 구두경고를 받았다.

유승우 의원(경기도 이천)의 사례는 더 결정적이다. 유 의원은 부인이 새누리당 이천시 의원 비례대표 후보자에게 공천헌금 명목으로 2억 원을 받은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 이에 대해 유 의원은 "후보자에게 돈을 받은 뒤 바로 돌려주려 했지만 후보자를 만나지 못해 3일간 보관했던 것뿐"이라고 해명했다고 한다.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겠다는 소리다. 돈을 받은 것 자체가 이미 '공천 장사'에 뜻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돈을 받은 것이 드러나지 않았어도 과연 유 의원은 돈을 돌려주려 했을까. 그리고 이천 이외에는 이런 일이 없었을까. 현실은 이런 의심에 '아니오'라고 자신 있게 대답할 수 없게 흘러가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